JNCIST 제 14권 3호

○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기술논문지  

ISSN(P) : 2384-101X 
ISSN(E) : 2672-1163
출판 :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학회


○ 논문투고분야 
 

본 논문지는 예술, 인문학, 사회학 분야의 연구를 멀티미디어의 다양성 및 응용성과 융합하여 유비쿼터스 시대의 근간이 되는 융합연구에 관련 연구 논문을 출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논문지에서 발간하는 논문은 다음 연구 분야에 해당하는 것으로 한다.  

 - 예술 융합 관련분야 
 - 인문학 융합 관련분야 
 - 사회학 융합 관련분야 
 - 기술 및 서비스 관련분야 
 - 기타 유관 분야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기술논문지'는 국내∙외 연구 및 학술활동을 촉진하고 산학연 관련 기관과 협력하여 예술, 인문, 사회, 과학, 기술 어울림과 창의적  융합학문 발전에 이바지 하고자 합니다. 

 학술지 편집위원 


  ◆ 편집위원장 

           김용성, 전북대학교 

  ◆ 편집위원  
           김경남, 백석대학교 
           김동조, 순천대학교 
           김정윤, 가천대학교 
           남상훈, 창원대학교 
           배재환, 동명대학교 
           이면재, 백석대학교 
           이원형, 중앙대학교 
           임양미, 덕성여자대학교 
           전혜성, 단국대학교 

 

- 본 논문지는 2012년 6월 30일에 창간호를 발간한 이후 매년 2회 다양한 주제의 논문을 발간하고 있습니다.

- 본 논문지는 2016년 한국연구재단 등재지후보지로 선정되었습니다. 

- 본 논문지는 2018년 한국연구재단 등재지로 선정되었습니다.  
- 본 논문지는 2019년 년 4회로 발행주기가 변경되었습니다.
- 본 논문지는 2021년 년 6회로 발행주기가 변경되었습니다.
- 본 논문지는 국문(한글) 및 영문 논문의 게재가 모두 가능합니다.

Journal Archive

1

수퍼픽셀 기반의 합성곱 신경망 성능 평가

이우식 | JNCIST 14(3) 301-310

Abstract : 최근 로봇 프로세스 자동화(Robotic Process Automation, RPA)와 인공지능(AI)을 결합한 인텔리전트 프로세스 자동화(Intelligent Process Automation, IPA)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폭넓은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의료 이미지 분석 분야에서는 여전히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다. 본 연구는 흉부 X-레이 영상에서 폐렴을 분류하기 위해 합성곱 신경망(CNN)을 기반으로 한 이미지 분류 시스템을 설계하고, 원본 이미지 기반 모델과 수퍼픽셀 기반 모델의 성능을 비교·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수퍼픽셀 기반 CNN은 테스트 정확도, 재현율(Recall), F1-점수 측면에서 원본 이미지 기반 모델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였으며, 특히 폐렴 클래스에서 높은 재현율을 기록하여 질병 탐지 성능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 수렴 속도와 검증 정확도에서도 더 안정적인 특성을 보이며 일반화 성능이 뛰어났다. 이러한 결과는 수퍼픽셀 기반 접근이 의료 이미지의 구조적 특징을 효과적으로 보존하고 노이즈에 강건한 학습을 가능케 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의료 이미지 분석에 IPA를 적용한 사례로, 진단 정확도의 향상을 통해 의료기관의 운영 효율성 증대, 진단 비용 절감, 환자 대기 시간 단축 등 다양한 경제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Keyword : 비즈니스 애널리틱스, 지능형 프로세스 자동화, 비정형 데이터, 피처 엔지니어링

http://dx.doi.org/10.29056/jncist.2025.06.01

       
2

AI 기반 음악 생성 시스템의 감성 어휘 수용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남궁기찬 | JNCIST 14(3) 311-319

Abstract : 최근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음악 제작 시스템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들이 손쉽게 음악을 창작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에서는 음악의 분위기나 정서를 지정하는 주요 수단으로 감성 어휘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는 사용자와 시스템 간의 정서적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현재 상용화된 AI 음악 생성 시스템들의 인터페이스는 제한된 수의 정형화된 감성 라벨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어, 실제 사용자가 인식하고 표현하고자 하는 정서와의 불일치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반하여, 생성형 AI 기반 음악 생성 시스템의 감성 어휘가 실제 사용자 언어를 얼마나 수용하고 있는지를 탐색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용자 15명을 대상으로 음악 청취 후 감성 어휘 도출, 카드 소팅 기법을 통한 라벨링 등의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사용자 감성 어휘와 상용 시스템 간의 일치도는 매우 낮은 수준에 머물렀으며, 사용자의 표현은 보다 세분화되고 주관적인 감정 상태를 반영하고 있었다. 연구의 결과는 생성형 AI 음악 시스템의 감성 인터페이스가 사용자 중심으로 재설계될 필요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실증 기반의 사용자 감성 어휘 분석을 통해 감성 기반 AI 시스템의 인터페이스 설계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며, 사용자-시스템 간 정서적 소통 강화의 중요성을 확인한다.

Keyword : 생성형 인공지능, 음악 생성 시스템, 감성 어휘, 사용자 경험

http://dx.doi.org/10.29056/jncist.2025.06.02

       
3

교통량 조사자료의 빅데이터 활용방안

나호혁, 정도영 | JNCIST 14(3) 321-332

Abstract : 본 연구는 도로교통량 통계자료의 활용 한계를 진단하고, 사고데이터, 디지털운행기록계(DTG), 기상·미세먼지 등 외부 빅데이터와의 연계를 통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설문조사와 표적집단면접(FGI)을 병행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전문가들은 통계자료의 실시간성 부족, 항목 구성의 단순성, 데이터 간 연계 부재 등의 문제를 지적하였으며, 사고데이터(33.3%), DTG(24.8%), 날씨 및 미세먼지(23.4%)와의 연계 필요성에 높은 공감대를 보였다. 특히 속도, 누적량, 개별차량 정보 등 추가 제공 항목의 확대 요구와 함께, 데이터 융합 기반의 예측형 서비스 모델 도입 필요성이 다수 제기되었다. FGI를 통해서는 지점 ID 일치, 분류체계 통합, 설명자료 보완, 활용 가이드 마련 등 구조적 개선과 실무 편의 향상을 위한 의견이 도출되었으며, 데이터 표준화 및 통합관리 체계 구축의 시급성도 함께 제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 정적 통계에서 벗어나 실시간·다차원적 분석이 가능한 빅데이터 기반 교통정보 체계로의 전환이 시급함을 시사하며, 정책 활용성과 실행력을 높이기 위한 실질적 방향을 제안한다.

Keyword : 도로교통량, 빅데이터 연계, 사고데이터, 디지털운행기록계(DTG), 표적집단면접(FGI)

http://dx.doi.org/10.29056/jncist.2025.06.03

       
4

감각 기반 장소감 평가 프레임워크 개발과 공간 UX 설계 적용 제안

신정훈, 반영환 | JNCIST 14(3) 333-342

Abstract : 본 연구는 감각 기반 장소감 형성 메커니즘을 이론적으로 구조화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평가 문항 체계를 개발하여 공간 UX 설계에 적용 가능한 프레임워크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장소성, 감각 인지, 감각적 몰입, 장소감, 행동 유도성 등의 이론적 개념과 하위 요소를 정리하고, 감각 UX와 장소 경험에 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설문 초안을 구성하였다. 이후 공간 디자인, UX 디자인, 감성 공학, 도시 및 환경 설계 전문가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5인을 대상으로 이론적 타당성, 구조 적합성, 언어 표현 명확성, 감각 회상 유도력, 통계 분석 가능성의 다섯 가지 기준에 따라 전문가 평가를 실시하고 설문 문항을 정제하였다. 그 결과 전체 설문은 총 34문항으로, 폐쇄형 문항 31문항과 주관식 문항 3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장소 회상, 장소성, 감각 인지, 감각적 몰입, 장소감, 행동 유도성, 감각 인상의 일곱 개 평가 영역으로 구분된다. 각 문항은 해당 변수의 이론적 정의와 구성 요소를 반영하여 설계되었으며, 7점 리커트 척도를 통해 사용자의 정서적·행동적 반응을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본 설문 도구는 설계 초기 단계에서 사용자의 감각 기반 반응을 진단하고, 감성 UX 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실질적 도구로서 활용 가능성을 가진다.

Keyword : 장소감, 감각 인지, 감각적 몰입, 평가 프레임워크, 사용자 경험

http://dx.doi.org/10.29056/jncist.2025.06.04

       
5

교통정보센터 설계 기준에 관한 연구

한대철 | JNCIST 14(3) 343-353

Abstract : 본 연구는 교통정보센터 설계 기준의 부재로 인해 발생하고 있는 센터 설계의 편차와 운영의 비효율성을 해소하고, 향후 ITS 확산과 스마트 교통체계 구축을 위한 기반 마련을 목적으로, 교통정보센터의 표준화된 설계 기준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의 국가 ITS 아키텍처와 더불어 국제적으로 인정받고 있는 ISO 11064와 같은 인체공학적 설계 기준을 준용하여, 교통 데이터 센터의 설계 절차, 공간 구성, 운영 환경, 시스템 운영 기준, 정보 운영 기준, 그리고 통제 센터 환경 기준 등 다양한 요소를 다각적으로 분석하고 종합적으로 정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전국적으로 통일된 기준에 의한 센터 설계를 통해 센터 구축 시 설계의 일관성과 효율성을 제고하고, 동시에 향후 센터 확장이나 시스템 보완 시에도 적용 가능한 실질적이고 표준화된 가이드라인을 제안하였다. 더불어, 센터 설계 시 고려해야 할 기술적, 재무적, 관리적, 서비스적, 그리고 리스크적 측면 등 복합적 요소들을 체계적으로 반영하여, 교통정보센터가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하는 종합적 설계 기준을 마련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기준안은 국내의 교통정보센터 구축 시뿐만 아니라 향후 해외 교통정보센터 및 유사한 통합관제센터의 설계 시에도 국제 표준화 수준의 참고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 : 교통정보센터, ISO 11064, ITS, 가이드라인, 센터 설계

http://dx.doi.org/10.29056/jncist.2025.06.05

       
6

Z세대의 자율 주행차 실내 공간 활용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구본석, 김승인 | JNCIST 14(3) 355-365

Abstract : 최근 모빌리티 트렌드로 자동차를 단순히 이동 수단에서 또 하나의 공간으로 생각하는 만큼 실내 공간 활용 방법과 소비자 인식이 매우 중요해졌다. 전기차는 내연 기관차보다 적은 부품이 필요하고, 구조도 단순해 실내 공간을 훨씬 여유롭고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실내 공간에서의 소비자 실내 행위 분석이 필요하다. 하지만, 앞으로 자동차를 이용할 주 고객인 젊은 세대를 바탕으로 한 사용자 니즈 분석과 실내 공간 유형화는 아직 많이 진행되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Z세대를 바탕으로 자율 주행차 실내 행위에 관한 분석을 진행했다. Kano 모델을 바탕으로 설문 조사가 진행되었으며 정확한 결괏값을 위해 만족 계수, 불만족 계수, PCSI 지수 또한 활용되었다. 분석 결과 국내 Z세대들은 ‘사적 공간’으로써 자동차 실내 공간을 가장 활용하기를 원했다. 본 연구는 Z세대를 대상으로 이들이 실내 공간을 어떻게 활용하는 것에 가장 만족도를 느끼는지 파악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실내 프라이빗 공간 디자인이 이루어질 수 있다고 기대한다.

Keyword : Z세대, 자율 주행차, 인테리어 공간 디자인, 실내 행위, 카노 모델

http://dx.doi.org/10.29056/jncist.2025.06.06

       
7

ESG 관점에서 본 중, 한 물류 서비스의 지속가능성 및 디자인통합 프레임워크 구축 -쿠팡(Coupang), 징둥(JD) 중심으로-

양밍루이, 한아름 | JNCIST 14(3) 367-380

Abstract : 본 연구는 중국과 한국의 대표적인 물류 기업인 징둥(JD)과 쿠팡(Coupang)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두 기업의 물류 서비스 디자인과 ESG 융합 현황을 비교 및 분석함으로써 물류 산업 내 지속가능성과 ESG(환경, 사회, 거버넌스) 적용에 대한 연구적 배경을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는 물류 서비스 디자인과 ESG의 통합에 초점을 맞추어, 물류 서비스 디자인 프레임워크 구축의 발전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론적 배경에서는 지속가능성을 기반으로 한 물류 서비스 디자인의 개념과 그 역할을 고찰하며, ESG 요소가 물류 산업과 서비스 디자인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또한, 징둥과 쿠팡의 ESG 전략 실행 현황 및 연간 ESG 보고서를 검토하여, 두 기업이 어떻게 지속 가능한 물류 서비스 디자인과의 통합을 실현하고 있는지를 심층적으로 논의한다. 본 연구는 빠르게 변화하는 글로벌 물류 환경 속에서 서비스 디자인의 다양성과 지속 가능 디자인과의 융합을 통한 새로운 물류 서비스 디자인 구축 가능성을 강조하며, 기술, 제도, 인문이라는 세 가지 핵심 축을 중심으로 다각도로 분석한다. 최종적으로는 중국과 한국의 사회·문화적 배경 차이를 고려하여, 지속 가능한 물류 산업 발전을 위한 실질적이고 실행 가능한 ‘모듈형 ESG 서비스 디자인 플랫폼(Modular ESG Service Design Platform)’ 프레임워크 구축 방안을 제안한다.

Keyword : 지속가능디자인, 물류 서비스 디자인, 중·한 비교, 물류 산업, ESG

http://dx.doi.org/10.29056/jncist.2025.06.07

       
8

지속가능한 지역 기술창업생태계 활성화 방안 연구: 쿼드러플 헬릭스, 오픈이노베이션, 협업 중심으로

윤재만, 장봉임 | JNCIST 14(3) 381-394

Abstract : 본 연구는 쿼드러플 헬릭스 모델, 오픈 이노베이션 이론, 협업 이론의 공통 요소를 통합적으로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지속가능한 지역 창업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상호작용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다중 행위자 참여, 개방형 지식흐름, 공동 가치창출이라는 핵심 메커니즘을 중심으로 이 프레임워크는 지역 혁신 시스템의 구조적 단절 문제를 극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기존 연구들이 이론을 개별적으로 다뤄왔던 반면, 본 연구는 개방형 혁신 프로세스를 통해 내부 역량과 외부 기회를 연결하는 유기적 거버넌스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이론 통합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다. 나아가, 다층적 개념을 통합하여 실질적으로 작동 가능한 정책 운영 체계를 설계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그리고, 본 연구는 행위자 기반의 가치 중심 창업 생태계를 설계하는 데 있어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며, 다양한 지역 맥락에서도 적용 가능한 보편적 프레임워크로 확장될 수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본 프레임워크를 실제 지역 사례에 적용하여 기술창업기업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가 필요하다.

Keyword : 쿼드러플 헬릭스, 오픈이노베이션, 협업, 창업생태계, 다중주체협업, 개방형 지식흐름, 공동가치 창출, 기술창업기업

http://dx.doi.org/10.29056/jncist.2025.06.08

       
9

시청각장애인을 위한 공연예술의 촉각 인터페이스 연구

김희수, 김승인 | JNCIST 14(3) 395-406

Abstract : 글로벌 디지털 콘텐츠 산업 성장과 언택트 무대 등으로 문화예술 분야에서 새로운 시도가 활발해지면서 공연 접근성 문제도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배리어프리 프로그램은 주로 시각과 청각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 관객의 사용자 경험에 한계가 있다. 이는 온·오프라인을 모두 아우를 수 있는 몰입형 장치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따라서 이 연구는 기존의 서비스 한계를 지적하고, 공연예술에서의 장애인 접근성 문제의 해결 방안을 제시한다. 먼저 극장 배리어프리 실태와 선행연구 분석을 진행하며 한계점과 개선점을 도출하여 기술의 융합을 시도하였다. 연구에서는 새로운 인터페이스를 구상하고, 시·청각장애인의 공통 가용 감각인 촉각을 이용하여 아티스트의 움직임을 좌표화한 햅틱 글러브에 관한 아이디어를 제안하였다. 촉각센서를 활용한 ‘손 위의 무대’ 개발은 관객의 몰입감을 향상하고, 장애인과 비장애인 간의 정보 격차가 벌어지지 않도록 접근성을 확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 : 공연예술, 배리어프리, 접근성, 햅틱, 촉각센서

http://dx.doi.org/10.29056/jncist.2025.06.09

       
10

Cultural Preservation in Black Myth Wukong: A Gameotics-Based Semiotic Analysis

Pengbo Chen | JNCIST 14(3) 407-419

Abstract : This paper examines how the action role-playing game Black Myth: Wukong preserves and reinterprets Chinese cultural heritage through a semiotic lens. Adopting the Gameotics framework, which cross-analyzes Peircean sign categories (icon, index, symbol) with digital game elements (aesthetics, mechanics, narrative), conduct a close reading of the game’s content to identify and clarify its cultural signifiers. By refining a previously complex semiotic matrix, our analysis highlights clear examples of iconic, indexical, and symbolic representations of Chinese mythology and traditions within the game. The findings indicate that Black Myth: Wukong faithfully integrates classic Journey to the West characters, settings, and themes into its design, thereby acting as a digital medium of cultural preservation and soft power. At the same time, the game balances authenticity with modern gameplay conventions, illustrating both the potential and the constraints of using Gameotics for cultural analysis. This paper conclude with a discussion of the method’s limitations in capturing dynamic cultural nuance and the implications of cultural adaptation in game design.

Keyword : Black myth Wukong, gameotics, cultural preservation, semiotics, digital games

http://dx.doi.org/10.29056/jncist.2025.06.10

       
11

디자인 독특성 평가 척도 개발 및 타당도 연구

이승민 | JNCIST 14(3) 421-430

Abstract : 본 연구는 독특성이 MZ세대 소비자를 사로잡을 수 있는 핵심 전략으로 부상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디자인 분야의 독특성의 구조를 밝히고 이를 바탕으로 디자인 독특성의 평가 지표를 개발하여 디자인 제품 및 서비스 제공에 있어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20대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 50개의 디자인 독특성 속성 요인 항목은 최종적으로 매력성, 신기성, 흥미성, 혁신성, 차별성, 독창성의 6개 요인으로 수렴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특정 제품의 모양이나 색상, 재료의 선택, 혹은 상징적인 요소의 활용이 기존의 다른 제품과 차별화되어 흥미롭고 매력적으로 다가올 때 그 디자인을 독특하다고 평가할 수 있으며, 이런 독창적인 접근 방식은 해당 브랜드의 개성을 부각하고 시장에서 경쟁력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본 연구의 결과는 점차 다양해지고 있는 소비자의 취향을 어떻게 디자인에 반영하고 브랜드 자산을 구축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 : 독특성, 평가척도, 디자인 평가, 요인분석

http://dx.doi.org/10.29056/jncist.2025.06.11

       
12

디자인 전시박람회 관람 경험의 유용성 및 만족도가 디자인 세부전공 선택에 미치는 영향

허주연 | JNCIST 14(3) 431-440

Abstract : 본 연구는 디자인 전시박람회 관람 경험이 대학생의 디자인 세부전공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디자인 전시박람회는 최신 디자인 트렌드와 기술을 접할 수 있는 중요한 플랫폼으로, 디자인 전공 대학생들에게 실질적인 학습 기회를 제공하고 전문가와의 네트워킹을 통해 진로 탐색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는 디자인 전시박람회의 관람 경험의 유용성 및 만족도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경기도 O대학교 디지털콘텐츠디자인계열 1학년 2학기 재학생을 대상으로 관련 경험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생들의 디자인 세부 희망 전공에 따라 디자인 전시박람회 관람 경험의 유용성 및 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특히 웹디자인 전공을 희망하는 학생들이 높은 유용성과 만족도를 보였다. 또한, 디자인 전시박람회에서의 감상적 유용성이 디자인 세부 전공 선택 확신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만, 본 연구는 특정 대학 및 학과 학생만을 대상으로 진행되어 일반화에 제한점이 있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다양한 지역 및 전공의 대학생, 더 넓은 학년 범위를 포함하여 연구 대상을 확대하고, 질적 연구 방법 병행 등을 통해 연구 방법론을 보완해야 한다.

Keyword : 디자인 전시박람회, 학습적 유용성, 감상적 유용성, 만족도, 디자인 진로 탐색

http://dx.doi.org/10.29056/jncist.2025.06.12

       
13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