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기술논문지
ISSN(P) : 2384-101X
ISSN(E) : 2672-1163
출판 :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학회
○ 논문투고분야
본 논문지는 예술, 인문학, 사회학 분야의 연구를 멀티미디어의 다양성 및 응용성과 융합하여 유비쿼터스 시대의 근간이 되는 융합연구에 관련 연구 논문을 출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논문지에서 발간하는 논문은 다음 연구 분야에 해당하는 것으로 한다.
- 예술 융합 관련분야
- 인문학 융합 관련분야
- 사회학 융합 관련분야
- 기술 및 서비스 관련분야
- 기타 유관 분야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기술논문지'는 국내∙외 연구 및 학술활동을 촉진하고 산학연 관련 기관과 협력하여 예술, 인문, 사회, 과학, 기술 어울림과 창의적 융합학문 발전에 이바지 하고자 합니다.
○ 학술지 편집위원
◆ 편집위원장
김용성, 전북대학교
◆ 편집위원
김경남, 백석대학교
김동조, 순천대학교
김정윤, 가천대학교
남상훈, 창원대학교
배재환, 동명대학교
이면재, 백석대학교
이원형, 중앙대학교
임양미, 덕성여자대학교
전혜성, 단국대학교
- 본 논문지는 2012년 6월 30일에 창간호를 발간한 이후 매년 2회 다양한 주제의 논문을 발간하고 있습니다.
- 본 논문지는 2016년 한국연구재단 등재지후보지로 선정되었습니다.
- 본 논문지는 2018년 한국연구재단 등재지로 선정되었습니다.
- 본 논문지는 2019년 년 4회로 발행주기가 변경되었습니다.
- 본 논문지는 2021년 년 6회로 발행주기가 변경되었습니다.
- 본 논문지는 국문(한글) 및 영문 논문의 게재가 모두 가능합니다.
인공지능 교육도구의 발전과 학습자의 정서적 웰빙: 연구동향 분석
Abstract : 본 연구는 인공지능 교육도구의 발전과 학습자의 정서적 웰빙에 대한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인공지능의 교육적 활용과 관련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정서학습, AI 감성 컴퓨팅, AI 학습자 감정 분석, AI 튜터의 교육지원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리뷰하고, AI 인공지능 기술과 정서적 웰빙의 긍정적 측면과 한계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감성 컴퓨팅 기술 등의 발달로 인공지능이 학습자의 감정을 분석하고, 학습자와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자의 학습경험을 개선하는데 기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인공지능 기술이 학습자의 정서 상태를 보다 정확히 이해하고 적절한 반응을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학습자의 학업성취 및 정서적 웰빙에 실용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수준으로 발달한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인공지능이 문화적 및 언어적 변이에 적응하지 못하거나 인간의 고유성을 대체하지 못하고, 부적절한 사용에 따르는 윤리적 문제 등의 한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인공지능 교육도구와 학습자의 정서적 웰빙에 대한 가능성과 한계를 확인하였다는 의의를 지닌다.
Keyword : 인공지능, 사회정서학습, 감성컴퓨팅, AI 튜터, 정서적 웰빙
http://dx.doi.org/10.29056/jncist.2024.10.01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학습이 대학 수학 학습에 미치는 영향 분석
Abstract : 최근 학생들의 기초 학력 격차가 점차 확대되고 있는 상황에서 온라인 플랫폼을 통하여 개인의 학습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AI 기반 학습 프로그램을 통한 맞춤형 학습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McGraw-Hill Education에서 개발한 학습 플랫폼인 ALEKS를 활용하여 대학 수준의 수학 과목에서 학생들의 초기 지식 상태와 학업 성취도 간의 관련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79명의 참가자를 사전 진단 검사를 바탕으로 세 그룹(높음, 중간, 낮음)으로 분류하였다. 연구 결과, 초기 지식 그룹 간 학기 말 ALEKS 과제 완료율과 최종 수업 성적 군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룹 간 ALEKS 사용 시간, 중간고사 점수, 퀴즈 참여율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기말고사 점수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수학에 대한 초기 지식이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했으며, 특히 저집단 학생들을 중심으로 AI 기반 학습 프로그램을 통한 학습 활동의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저집단 학생들 대상 ALEKS의 효과적인 활용에 대한 추가 연구의 필요성을 함의한다.
Keyword : 대학수학, 온·오프라인 병행, AI 학습 프로그램, 맞춤형 수업, 인공지능 튜터링
http://dx.doi.org/10.29056/jncist.2024.10.02
Abstract : 국내 도로교통량 조사는 도로의 계획, 건설, 유지 및 관리를 위한 필수적인 기본 자료이며, 다양한 도로 및 교통 관련 연구의 기초자료로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일반국도의 상시조사지점에서 수집되는 교통량 자료는 도로 계획과 정책 수립 과정에서 중요한 계수로 활용되며, 도로 운영 및 관리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핵심적인 기초 자료로 제공된다. 그러나 현재 일부 대구간에서는 상시조사지점이 누락되어 있거나, 상시조사지점이 특정 구간의 교통 특성을 대표하지 못하는 등 여러 문제점이 발견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개선이 시급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시조사지점 자료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방법론 개발을 위해 기존 문헌을 면밀히 검토하였으며, 주요 분석 기법으로는 대응표본 t-검정을 사용하였다. 이를 통해 대구간의 세 가지 유형에 대해 분석을 진행하여 개선방안을 도출하였으며, 일반국도 14개 노선에 걸친 210개 대구간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한 결과, 125개 구간에서 개선이 필요한 방안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개선방안을 바탕으로 상시조사지점을 보완하고 개선할 경우, 교통량 통계자료의 정확성과 대표성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는 보다 신뢰도 높은 자료 구축을 통해 도로 계획, 교통 정책 수립 및 관련 연구에 있어 실질적인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Keyword : 교통량, 상시조사지점, 수시조사지점, 대응표본 t-test, 교통량정보제공시스템
http://dx.doi.org/10.29056/jncist.2024.10.03
Abstract : In this study, a methodology is proposed to estimate driving distance more accurately by vehicle type using communication data to calculate carbon emissions. Traditional methods based on historical data collection have limitations in estimating driving distance accurately. However, utilizing communication data allows for more detailed estimation of driving distance across the traffic network, contributing to a more precise calculation of carbon emissions. Although various traffic monitoring devices are currently used to estimate driving distances, it remains challenging to estimate the total driving distance by vehicle type according to road classification. This approach yields higher accuracy and reliability than traditional sample-based estimation method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critical foundational data for formulating national policies on greenhouse gas reduction and are expected to significantly improve the accuracy of carbon emission calculations in the road sector. In particular, the methodology based on mobile communication data improves vehicle-specific travel distance estimation and enhances spatiotemporal analysis capabilities for road-sector carbon emissions.
Keyword : Carbon emissions, mobile communication data, travel distance, traffic data collection devices, reliability
http://dx.doi.org/10.29056/jncist.2024.10.04
Abstract : 교통 수송 분야에서의 탄소배출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전적으로 석유에 의존하고 있는 운송수단에 대하여 교통산업에서도 변화의 필요성이 제시되고 있는 상황이다. 수소연료 전기차의 보급 확대와 관련하여, 수소차 선택에 있어 주요 요소들의 상대적 우선순위를 선정하여 사용자 측면에서의 수소차 및 차량 에너지 전환 의사 및 지불의사 금액을 측정하여 장래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한 정책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현행 차량 실구매 가격과 연료충전방식에서는 전기차와 화석연료(유류)차와 비교시 전체 차량 구매대상자의 12.4%만이 수소차 구매의사가 있다고 분석되었다. 수소차의 단점을 보완할 경우 27.2%로 크게 향상할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순위 선정을 위한 계층은 2계층 구조로 설계하였으며, 1계층은 운전자가 수요차를 구매 후 운행하면서의 연료충전관련 편의성, 차량 구매시 발생하는 비용, 1회 주유 후 주행거리 등의 차량 성능 3개 항목으로 구분하였다. 분석결과, 수소차 실수요자 입장에서 유지보수, 차량 구매와 같이 비용적인 측면의 지원이 가장 필요한 항목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충전시간, 거리와 같이 구매 후 발생되는 편의성 저하 요인은 상대적으로 낮은 지원 우선순위를 나타냈다. 수소차 활성화를 위해서는 차량 구매 대상자를 위한 정책 지원과 구매 후 지속적인 운영을 지원할 수 있는 정책을 모두 진행할 필요가 있다.
Keyword : 수소차, AHP 분석, 탄소 중립, 우선순위, 수소경제
http://dx.doi.org/10.29056/jncist.2024.10.05
교육적 오락물과 밈을 활용한 공공캠페인 콘텐츠의 SNS 성공사례 : 인스타그램 ‘독도코리아’ 채널을 중심으로
Abstract : 본 연구는 인스타그램 채널 ‘독도코리아’를 사례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에서의 채널 성장과 콘텐츠 특성 간의 관계를 심층적으로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교육적 오락물 이론과 밈 이론을 적용하여 공공캠페인 콘텐츠가 채널 성장에 미친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독도코리아’ 채널의 성공 요인을 탐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독도코리아’ 채널의 콘텐츠 내용을 분석하여 카테고리화하고, 이에 따른 콘텐츠 조회수, 댓글, 좋아요, 도달률, 공유, 저장 등 참여도를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독도코리아’ 채널은 독도의 역사와 문화를 단순 정보 전달에 그치지 않고, 밈을 활용한 재미있고 교육적인 방식으로 시청자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해 팔로워 증가에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밈을 활용한 ‘독도는 우리땅 챌린지’가 채널 성장의 주요 동력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변화하는 미디어 환경에서 인플루언서 마케팅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며, 교육적 오락물 콘텐츠와 밈의 효과적인 활용 방법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는 데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Keyword :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교육적 오락물, 밈, 숏폼 콘텐츠, 공익 캠페인
http://dx.doi.org/10.29056/jncist.2024.10.06
SNS웹툰 IP와 캐릭터 융합사례 연구: 스토리텔링의 정서적 공감 요인을 중심으로
Abstract : 본 연구는 SNS웹툰의 정서적 공감요인을 분석하여 작품에서 발견할 수 있는 공감의 기능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웹툰 산업이 발전하면서 이용자가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들은 웹툰 전문 플랫폼 외에도 SNS 플랫폼 또한 웹툰을 감상하는데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SNS 플랫폼 내 작품들은 IP에 대한 선호도를 기반으로 다양한 캐릭터 융합 사례를 만들어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SNS웹툰과 캐릭터에서 발견할 수 있는 정서적 공감 요인을 연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IP융합에 대한 제언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에 정서적 공감 요인으로 주제성, 동질감, 시대성, 친근감 등을 도출하였고 SNS웹툰 중 적극적인 IP융합을 이루고 있는 세가지 사례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 작품들은 모두 정서적 공감 요인에 부합하였으며, SNS 플랫폼을 활용하여 작품을 통한 독자들과의 관계와 커뮤니티 구성, 좋은 평판 등을 얻었음을 분석하였다. 이에 SNS웹툰 IP는 소비자와의 공감을 통해 융합을 위한 파이프라인을 구축하고 앞으로 성공가능성을 가질 수 있음을 연구하였다.
Keyword : SNS, SNS웹툰, 캐릭터, 스토리텔링, 정서적 공감요인
http://dx.doi.org/10.29056/jncist.2024.10.07
고령자를 위한 스마트 의약품 디스펜서 디자인 향상 방안 연구
Abstract : 오늘날 고령화가 진행됨에 따라 건강 인식과 의약품 의존도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고령자는 다양한 만성 질환으로 여러 약을 복용하는 경우가 많아 복용 시간과 주의 사항 관리가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고령자에게 적합한 의약품 보조 디스펜서 개발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의약품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실수를 방지하고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디자인을 제안한다. 연구는 스마트 의약품 디스펜서의 기능과 특징을 분석하고, 복잡한 의약품 복용에 대한 대응책을 제시한다. 국내외 선행연구와 시중 출시 제품 분석을 통해 주요 기술요소를 정리했으며, Med-Q, e-Pill, Vaica, HiPee, Memo Box 등 5개 제품을 분석한다. 결과적으로, 의약품 오용 방지를 위한 시각적 안내, 청각적 제시, 촉각적 보상, 외부 상호작용의 네 가지 디자인 요소를 제안하며, 이를 통해 고령자의 의약품 복용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연구결과는 형태, 색상, 소재에서 시각, 청각, 촉각 알람 기능과 휴대성을 강조하며, 고령자의 건강관리 효과를 개선하고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한다.
Keyword : 고령화, 스마트 패키지, 의약품 패키지 디자인, 의약품 디스펜서
http://dx.doi.org/10.29056/jncist.2024.10.08
중년기혼여성의 화병과 결혼안정성의 관계: 여가경험은 화병 대처효과가 있는가?
Abstract : 본 연구는 중년기혼여성의 화병과 결혼안정성의 관계를 탐색하고자 한다. 아울러 화병과 결혼안정성간의 관계에서 여가경험의 화병 대처효과가 있는지에 대하여 탐구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구‧경북 그리고 경남에 거주하는 중년기혼여성 309명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조사기간은 2023년 8월~11월 사이에 이루어졌다. 첫째, 중년기혼여성의 화병과 결혼안정성의 관계를 탐험적인 수준에서 확인한 결과 화병(정서증상, 신체증상)이 결혼안정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화병(정서증상, 신체증상)이 결혼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여가경험이 조절효과를 나타내는지 검증하였다. 검증결과, 여가경험이 화병의 하위요인 중 정서증상과 결혼안정성사이에서 결혼안정성을 증가시키는 긍정적 대처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화병(정서증상)과 결혼안정성의 관계는 여가경험에 따라 유의미하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중년기혼여성의 화병과 결혼안정성의 관계에서 여가경험의 조절효과를 규명하고자 한 최초의 시도였다는 점에서 이론적으로 가치가 있을 것이다.
Keyword : 중년기혼여성, 화병, 결혼안정성, 여가경험
http://dx.doi.org/10.29056/jncist.2024.10.09
Abstract : 본 연구는 단서 일관성 이론과 SOR 모델을 바탕으로, 친환경 마케팅 활동(친환경 제품, 광고, 패키지, 에코라벨, 소셜미디어)이 소비자가 지각한 진정성과 지속가능한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친환경 마케팅 활동은 내부 단서(친환경 제품, 광고, 패키지)와 외부 단서(에코라벨, 소셜미디어)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한국 소비자 61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고, 구조방정식 분석을 실시했다. 그 결과, 친환경 패키지, 소셜미디어, 광고는 진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친환경 제품과 에코라벨은 진정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진정성은 브랜드 이미지와 신뢰를 통해 브랜드 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브랜드 충성도를 형성하는 프로세스를 연구했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가 있으며, 지속가능한 브랜드 충성도 형성 과정에서 진정성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친환경 마케팅 활동을 통해 기업의 브랜드 충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실무적 의의가 있다.
Keyword : 친환경 패키지, 광고, 소셜미디어, 진정성, 지속가능한 브랜드 충성도
http://dx.doi.org/10.29056/jncist.2024.10.10
숏폼 비디오 유형별 시각 구성 요소 적용에 관한 연구: MZ세대의 선호도를 중심으로
Abstract : 본 연구는 문헌과 선행 연구를 통하여 숏폼 비디오의 콘텐츠 유형과 영상 디자인의 시각적 구성 요소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숏폼 비디오 제작에 사용되는 시각적 구성 요소를 비디오 길이, 동영상 화면 비율, 속도, 문자(자막, 타이틀), 디자인 엘리먼트로 도출한다. MZ세대 사용자의 선호도를 높이기 위해, 이들이 선호하는 숏폼 비디오의 시각적 구성 요소의 특징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숏폼 비디오에 대한 인지도가 높고 일평균 시청 시간이 1시간 이상인 MZ세대 사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여, 유형별 시각적 구성 요소에 대한 선호를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9:16 비율의 1분 이내 길이, 자연 속도보다 느리지 않은 숏폼 비디오를 선호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자막의 위치는 롱폼 동영상의 시청 습관과 일치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타이틀의 유무는 담론형과 대화형 콘텐츠에 따라 차이가 있다. 시청자 참여를 유도하는 상향식 유형에서는 필터와 아이콘의 추가가 흥미를 높이는 반면, 하향식 유형에서는 디자인 엘리먼트가 없어도 괜찮다는 선호가 있다. 이 연구 결과는 MZ세대를 타깃으로 한 유형별 숏폼 비디오 제작 시 이론적 참고 자료로 작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Keyword : 숏폼비디오, 영상디자인, 시각적 구성요소, MZ세대
http://dx.doi.org/10.29056/jncist.2024.10.11
도서관 대출통계를 통한 전문대학 학생들의 도서 대출패턴 분석
Abstract : 본 연구는 전문대학도서관 이용자들의 직접적인 정보요구의 지표인 대출통계를 통해 전문대학 학생들의 도서 대출패턴을 분석하였다. 학위과정별 분석에서 전문학사과정과 학사학위과정 모두 문학 분야의 대출율이 가장 높았고 기술과학, 총류 분야가 뒤를 이었으며, 두 학위과정 학생들 모두 유사한 주제 분야의 대출 선호도를 보여주었다. 전공계열별 분석에서 각 계열에 포함된 주제 분야의 책이 많이 대출된 것으로 나타나 전공 주제와 관련된 책을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공학계열에서 기술과학 분야의 이용정도가 타 주제 분야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았다. 대출횟수 기준으로 대출통계를 분석하여 상위대출도서를 산출하였다. 학생들의 가장 많이 대출한 상위대출도서 100위권에 해당하는 주제는 문학 분야가 가장 많았으며 총류, 사회과학, 언어, 기술분야, 철학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직업전문인재 양성이라는 전문대학의 목표하에 전문대학도서관의 이용자 요구에 부합한 역할을 수행하고 도서관자료의 활용도를 강화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 : 전문대학도서관, 대출통계, 이용계수, 대출횟수, 상위대출도서
http://dx.doi.org/10.29056/jncist.2024.10.12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