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기술논문지
ISSN(P) : 2384-101X
ISSN(E) : 2672-1163
출판 :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학회
○ 논문투고분야
본 논문지는 예술, 인문학, 사회학 분야의 연구를 멀티미디어의 다양성 및 응용성과 융합하여 유비쿼터스 시대의 근간이 되는 융합연구에 관련 연구 논문을 출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논문지에서 발간하는 논문은 다음 연구 분야에 해당하는 것으로 한다.
- 예술 융합 관련분야
- 인문학 융합 관련분야
- 사회학 융합 관련분야
- 기술 및 서비스 관련분야
- 기타 유관 분야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기술논문지'는 국내∙외 연구 및 학술활동을 촉진하고 산학연 관련 기관과 협력하여 예술, 인문, 사회, 과학, 기술 어울림과 창의적 융합학문 발전에 이바지 하고자 합니다.
○ 학술지 편집위원
◆ 편집위원장
김용성, 전북대학교
◆ 편집위원
김경남, 백석대학교
김동조, 순천대학교
김정윤, 가천대학교
남상훈, 창원대학교
배재환, 동명대학교
이면재, 백석대학교
이원형, 중앙대학교
임양미, 덕성여자대학교
전혜성, 단국대학교
- 본 논문지는 2012년 6월 30일에 창간호를 발간한 이후 매년 2회 다양한 주제의 논문을 발간하고 있습니다.
- 본 논문지는 2016년 한국연구재단 등재지후보지로 선정되었습니다.
- 본 논문지는 2018년 한국연구재단 등재지로 선정되었습니다.
- 본 논문지는 2019년 년 4회로 발행주기가 변경되었습니다.
- 본 논문지는 2021년 년 6회로 발행주기가 변경되었습니다.
- 본 논문지는 국문(한글) 및 영문 논문의 게재가 모두 가능합니다.
A Classification and Preference Analysis of Interior Types of Autonomous Car
Abstract : The degree of automation of autonomous vehicles is getting higher and higher, and with the increasingly fierce commercial competition of electric vehicles such as Tesla, the technology of autonomous vehicles will develop rapidly along with the commercial competition. Of course, changes in energy and the way autonomous cars drive will also change the demand for space in the car.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redesign the interior design of self-driving cars. The literature search and statistics show that the self-driving car's interior is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according to the function type: work, entertainment, rest, and driving. The user's needs, behaviors, ideal facilities, and facility placement schemes in the self-driving car are obtained using focus group interviews and expert interviews. Then, 320 respondents were divided into Male and female ages; two groups were statistically compared and analyzed. The conclusion is that in work, entertainment, rest, and driving space, male and female 20-29 years old, 40-59 years old age group standard preference car features: Strong privacy, independent office, spacious office/entertainment area, sound and sound insulation effect, large screen area (car front windshield area plus ceiling are screens).
Keyword : self-driving car; in-vehicle space; in-vehicle facilities; preference
http://dx.doi.org/10.29056/jncist.2023.12.01
Abstract : 국내 도로교통량 조사는 도로의 계획, 건설, 관리에 필요한 기본 자료, 각종 도로·교통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되는 매우 중요도가 높은 조사이다. 이 중 일반국도 조사지점은 최초 조사지점 선정 이후 지속적으로 보완이 이루어졌으나, 최근 변경된 도로·교통 상황의 반영이 일부 미비하여 보완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사지점 개선이 필요한 지점을 선정하는 방법론을 제시하고, 개선이 필요한 지점의 우선순위를 제시하여 향후 도로교통량 조사의 정확도를 제고하고자 하였다. 방법론 개발을 위하여 기존 조사지점 선정 기준 및 현황, 도로 및 통행유발시설 사업을 검토하였으며, 그 결과 총 6개 유형을 선정하여 조사지점 신설 및 기존 조사지점 변경/제거 지점을 제시하였다. 검토 결과, 조사지점 신설이 필요한 지점은 총 476개소, 기존 지점 변경/제거가 필요한 지점은 총29개소로 총 505개의 개선 필요 지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활용하여 순차적으로 교통량 조사지점을 개선한다면 보다 정확하고 활용도가 높은 도로교통량 통계자료가 구축될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 : 도로교통량조사, 국도, 조사지점 신설, 기존 조사지점 변경/제거
http://dx.doi.org/10.29056/jncist.2023.12.02
지방부 일반국도의 보행자도로 설치효과 분석 방법론 개발
Abstract : 본 연구에서는 지방부 일반국도에 설치되는 보행자도로의 설치 효과분석을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보행자도로의 거시적 분석방법과 미시적 분석방법을 제안하였으며, 각 분석방법에 따라 실제 데이터를 분석하여 적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먼저 분석기간 동안 발생한 보행자 교통사고를 분석하였으며, 전체 도로의 보행자사고가 52% 감소한 반면, 일반국도에서는 82%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GIS 교통사고 분석에서는 보행자도로의 설치지점과 교통사고 데이터를 비교분석하였으며, 교통사고 데이터의 방향성과 항목이 상이한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보행자도로의 설치효과 분석은 거시적 분석방법과 미시적 분석방법을 통합한 분석방법론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거시적 분석 수준에서는 전체 교통사고 분석과 실제 수행한 기본계획의 규모를 분석하고, 미시적 분석 수준에서는 교통사고 비교가 가능한 단위지구별 단위의 교통사고 분석을 통해 통합적인 효과분석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 : 보행자도로, 거시적/미시적 분석, 보행자 교통사고, 지방부 일반국도, 통합 분석
http://dx.doi.org/10.29056/jncist.2023.12.03
위챗(WeChat) 미니 프로그램 이용 동기가 시청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만족도를 매개 변인으로
Abstract : 본 연구에서는 위챗 미니 프로그램의 이용 동기가 이용 만족도와 지속적인 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이용 만족도의 매개 역할을 파악하기 위해, 총 313명의 위챗 미니 프로그램 이용자의 설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위챗 미니 프로그램의 이용 동기는 다양성, 오락성, 그리고 편리성으로 나타났다. 둘째, 위챗 미니 프로그램의 이용 동기는 이용 만족도와 지속적인 이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다양성 이용 동기가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셋째, 위챗 미니 프로그램의 이용 동기와 지속적인 이용 의도 사이에서 이용 만족도가 매개 변수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다양성’과 ‘편리성’ 요인은 이용 만족도가 높을수록 지속적인 이용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부분 매개 효과를 보였으며, 반면 ‘오락성’ 요인은 사용자가 오락성을 직접 체감할 때 지속적인 이용 의도가 형성되는 완전 매개 효과를 보였다. 이 연구는 위챗 미니 프로그램의 이용 동기, 이용 만족도, 그리고 지속적인 이용 의도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이론적 및 실무적인 의의를 지닌다.
Keyword : 위챗 미니 프로그램, 이용 동기, 이용과 충족 이론, 이용만족도, 지속이용의도
http://dx.doi.org/10.29056/jncist.2023.12.04
Abstract : With the in-depth development of AR + (Augmented Reality +) technology,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cooperative communication, the analysis of film and television integration has become a hot spot in Metaverse research, and the construction of Metaverse has become the focus of film and television culture and local culture. The original film and television fusion method cannot solve the problem of regional film and television fusion in Metaverse, and the accuracy of virtual reproduction is low. Therefore, under the condition of Metaverse, this paper uses AR + technology to analyze the fusion of movies and TV programs in different regions. Firstly, AR + is used to analyze the regional cultural data, and the behavior i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film and television conditions, and the irrelevant film and television fusion data is deleted. Then, according to the regional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classification results, the fusion points are selected, and compared with the previous film and television fusion methods to verify the film and television fusion effect. Through MATLAB software analysis,the perspective of Metaverse, it can be seen that AR + technology can promote the integration of film and television in different regions, improve the accuracy of film and television transmission, and reduce the differences of film and television integration in different regions.
Keyword : AR +; Metaverse; Regional culture; Integration
http://dx.doi.org/10.29056/jncist.2023.12.05
관광정보 검색을 위한 통합검색과 ChatGPT검색의 사용자 경험과 인식에 관한 연구
Abstract : 본 연구는 이상적인 여행정보 검색을 위해 기존 통합검색과 ChatGPT를 접목하여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전략이 필요함에 따라, 여행정보 검색을 위해 ChatGPT 사용경험이 있는 사용자들 대상으로 통합검색과 ChatGPT의 사용자경험과 인식을 분석하였다. 이에 ChatGPT를 사용한 경험이 있는 서울에 거주하는 성인남여 100명을 대상으로 1차 설문과 이들 중 20명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여 각각의 경험과 인식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여행정보 검색을 위해 통합검색 사용비중이 ChatGPT의 3배가량이고 20대의 ChatGPT 선호가 가장 높으며, 둘째, 여행정보 검색시 통합검색 능숙도는 긍정 비중이 73.4%, ChatGPT는 100%이고, 셋째, 선호이유는 통합검색은 신속성, 용이성, 다양성 등 순이고, ChatGPT는 효율성, 용이성 등 순이었으며, 넷째, 개선점은 통합검색 경우 신속성, 용이성, 정확성, ChatGPT는 효율성, 용이성 등 순이었다. 마지막으로, 차후 지속사용의도에 있어 통합검색은 긍정답변이 86.7%, ChatGPT는 90%임을 확인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라, 본 연구는 차후 여행정보 검색 품질과 사용자경험을 개선할 수 있는 통합검색, ChatGPT의 상호 활용방안을 제시했고, 차후 관련연구가 본 연구결과를 구체화할 기술적 전략에 주목한다면 본 연구를 유용하게 확장할 수 있음을 제언했다.
Keyword : 여행정보검색, 통합검색, ChatGPT, 사용자경험, 상호 활용방안
http://dx.doi.org/10.29056/jncist.2023.12.06
마트 매장의 무인계산대 키오스크에 대한 사용성 디자인 연구 -MZ세대를 중심으로-
Abstract : 최근 국내 인건비 줄이기 위한 무인계산대 키오스크를 이용하는 일이 늘어나고 있다. 또 코로나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 및 접촉을 최소화하기 위해 키오스크를 도입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범위는 국내에서 MZ세대 많이 사용되는 이마트, 다이소, 무지 3가지 키오스크를 연구대상으로 정하였다. 문헌 연구와 관찰을 통해 키오스크 구성요소 및 이용순서 등을 살펴보았다. 그 다음으로 제이콥 닐슨(Jakob Nielson)의 휴리스틱 평가법(Heuristic Evaluation)의 10가지 원칙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설문조사 및 심층인터뷰를 통해 사용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10가지 항목에 심층인터뷰를 통해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키오스크의 구성요소 8개 중 터치스크린, 바코드 스캐너, 핸드 스캐너, 카드 투입구는 사용자들에게 문제 좀 있고 불편점이 느낄 수 있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키오스크 디자인 개발에 키오스크의 사용성 문제점 파악하기 위해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 : 사용성 평가, 무인계산대 키오스크, 휴리스틱 평가법, MZ 세대
http://dx.doi.org/10.29056/jncist.2023.12.07
확장된 기술수용모형(ETAM)과 플로우(Flow)를 이용한 스마트 수질측정기의 이용동기와 수용의도에 관한 연구: 인지된 집중, 신뢰를 중점으로
Abstract : 이 논문은 스마트 수질측정기를 사용하는 소비자들의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한다. 스마트 수질측정기는 마시는 물의 위생을 저렴하면서도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는 디지털기반의 제품이며, 본 연구를 통해 소비자의 건강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고 더불어 기업의 경영이득 활동에도 도움이 될 수 있는 스마트 수질측정기의 확산을 장려하는데 기여를 할 것으로 본다. 본 연구는 기존에 연구된 확장된 기술수용모델(ETAM)과 플로우(Flow)모델을 기반으로 외적 동기요인과 내적 동기요인을 개발했으며, 스마트 수질측정기 수용에 적합한 매개요인도 개발하였다. 분석을 위해 스마트수질 측정기를 사용해본 소비자로부터 516명의 설문을 수집하여 아래와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쨰로, 외적 동기요인인 인지된 용이성과 인지된 유용성은 신뢰 매개요인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대신 태도 매개요인에는 영향을 주었으며, 신뢰와 태도 매개요인은 수용의도에 영향을 주었다. 둘째는, 내적 동기요인인 건강 추구, 유용성 추구, 사회적 동조성 추구, 정보 추구 등은 인지된 집중 매개요인에 영향을 주었고, 인지된 집중 매개요인은 매개요인 신뢰를 거쳐 수용의도에 영향을 주었다. 끝으로, 내적 동기요인 중 건강 추구는 매개요인 인지된 집중, 태도 신뢰 모두에 영향을 주었다.
Keyword : 스마트 수질측정기, 신뢰, 태도, 인지된 집중, 수용의도
http://dx.doi.org/10.29056/jncist.2023.12.08
확장된 통합 기술 수용 이론(UTAUT2)을 활용한 C2C 리셀 플랫폼 사용자 연구: 성별과 연령의 조절효과
Abstract : 한정판 및 명품의 개인 간 거래(C2C)를 중개하는 리셀 플랫폼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가운데, 리셀 플랫폼의 사용자 연구는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UTAUT2 이론 모델 및 리셀 플랫폼의 이용 동기 요인을 통합하여 사용자의 기술 수용 요인과 특성이 리셀 플랫폼 이용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였다. 리셀 플랫폼 이용 경험이 있는 30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로 첫째, 성과 기대와 노력 기대, 사회적 영향과 촉진 조건, 습관은 리셀 플랫폼 사용 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력 기대와 사회적 영향은 사용 행동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쳤는데, 이를 일종의 소비자 독특성 욕구로 해석하였다. 셋째, ‘리셀 테크’를 리셀 플랫폼 사용 요인으로 추측하는 사회적 인식과 상이하게, 가격 가치와 투자성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러한 리셀 플랫폼 사용자 특성에 대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소비자 독특성을 충족하는 차별화된 실무 전략과 리셀 플랫폼이 집중해야 할 서비스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Keyword : 리셀, 리셀 플랫폼, 통합 기술 수용 이론, 사용자, 투자성
http://dx.doi.org/10.29056/jncist.2023.12.09
사이버대 성인학습자의 자기분화와 회복탄력성: 일치성의 매개효과와 자기수용의 조절된 매개효과
Abstract : 본 연구는 사이버대학 재학 중인 성인학습자의 회복탄력성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분화, 일치성, 자기수용의 관계에 관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자기분화는 회복탄력성을 예측할 것이다, 일치성은 자기분화와 회복탄력성 사이를 매개할 것이다, 자기수용은 일치성과 회복탄력성 간 관계를 조절할 것이다, 자기분화가 일치성을 매개하여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자기수용에 의해 조절될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여 이에 관련한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해 국내 한 사이버대학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자기보고식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557명에 대한 자료를 빈도분석, 기술통계 분석, Pearson 상관분석을 하였고 Hayes 부트스트랩 검증을 하였다. 연구 결과, 자기분화는 회복탄력성을 예측할 것이다, 일치성은 자기분화와 회복탄력성 사이를 매개할 것이다, 자기수용은 일치성과 회복탄력성 간 관계를 조절할 것이다, 자기분화가 일치성을 매개하여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자기수용에 의해 조절될 것이라는 가설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채택되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을 밝혔고 한계와 후속 연구를 제언하였다.
Keyword : 회복탄력성, 자기분화, 일치성, 자기수용, 성인학습자
http://dx.doi.org/10.29056/jncist.2023.12.10
MZ세대의 친환경 실천을 위한 참여형 친환경 캠페인 사례 연구
Abstract : 본 연구는 환경에 대한 관심과 미닝아웃을 추구하는 MZ세대의 친환경 실천 의식과 행동을 지속해서 끌어내기 위한 참여형 친환경 활동에 대한 사례 연구이다. 정부 기관과 많은 기업들이 친환경 캠페인을 실행하지만, 목적이 단순 홍보에 집중될 때 지속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친환경 캠페인의 가장 큰 목적은 지속 가능한 삶을 지향하는 소비자들의 실생활 변화이며, 친환경 행동은 일상을 넘어 습관으로 스며들어야 한다. 이에 MZ세대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지속적인 캠페인을 만들 수 있도록 핵심 속성을 도출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통해 MZ세대의 친환경 행동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캠페인을 중심으로 사례 분석을 진행한 후, 동기가 될 행동 요인을 조사하였다. 또한, 선행연구와 사례 분석을 통해 능동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친환경 인식 확산을 위한 주요 속성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가 향후 참여형 친환경 캠페인의 사용자 경험에 대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고 나아가 실질적 캠페인 운영 방안과 전략을 모색하는 데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Keyword : MZ세대, 친환경 캠페인, 플로깅, 비치코밍, 제로웨이스트, 친환경 행동
http://dx.doi.org/10.29056/jncist.2023.12.11
기업과 공공기관의 콜라보레이션을 통한 그린 캠페인 사례 연구
Abstract : 본 연구는 국내·외 기업과 공공기관의 콜라보레이션 그린 캠페인 사례를 분석한 연구이다. 최근 기업과 공공기관의 협력을 통한 그린 캠페인은 환경이라는 공공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커뮤니케이션의 한 방향으로 시민들의 자발적 참여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업과 공공기관의 콜라보레이션을 통한 그린 캠페인 분석을 통해 그린 캠페인이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으로는 문헌 연구를 통해 그린 캠페인의 이론 및 캠페인 관련 항목들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그린 캠페인 사례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그린 캠페인은 접근성, 공감성, 커뮤니티, 지속성, 보상성 5가지의 방향성이 필요하며, 기업과 공공기관의 장점을 활용한 특색있는 캠페인이 진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기업과 공공기관의 콜라보레이션 그린 캠페인을 더욱 활성화하기 위한 방향성을 제안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향후 이 연구가 기업과 공공기관이 함께 그린 캠페인을 진행하는 데 기본적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Keyword : 그린 캠페인, 친환경, 캠페인, CSR, 사례 분석
http://dx.doi.org/10.29056/jncist.2023.12.12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