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디지털 예술공학 멀티미디어 논문지
ISSN(P) : 2508 - 9099
ISSN(E) : 2672 - 1198
출판 :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학회
○ 디지털 예술공학 멀티미디어 논문지 발간 목적과 중요성
글로벌시대에 차세대 창조적 사회는 분야 간의 경계를 초월한 인문, 예술 및 기술을 통합하는 융합적 서비스를 요구하고 있다. 예술, 인문 분야에서도 다양한 기술적 요소들을 융합하는 시도를 하고 있으며, 기술, 게임 분야에서는 예술 분야의 뉴미디어, 예술 요소들을 융합하려는 요구사항이 많아지고 있음.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기술연구센터는 ‘디지털예술공학멀티미디어논문지’를 창간하고 발간함으로써 국내∙외 연구 및 학술활동을 촉진하고, 산∙학∙연 관련 기관과 협력하여 예술, 인문, 디자인, 미디어, 생활, 건축, 게임, 영상 등의 분야들의 융합을 통하여 학문 발전에 이바지 하고자 한다.
○ 논문투고분야
본 논문지는 예술, 인문학, 사회학 분야의 연구를 멀티미디어의 다양성 및 응용성과 융합하여 유비쿼터스 시대의 근간이 되는 융합연구에 관련 연구 논문을 출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논문지에서 발간하는 논문은 다음 연구 분야에 해당하는 것으로 한다.
- 예술 (사진, 연출, 순수, 공간 등) 융합 관련 분야
- 인문학 (언어, 역사, 문학 등) 융합 관련 분야
- 디자인 (광고, 시각, 제품 등) 융합 관련 분야
- 멀티미디어 (게임, 미디어, 영상, 애니메이션 등) 융합 관련 분야
- 건축 (건축, 실내, 전시 등) 융합 관련 분야
- 기타 유관 융합 분야
○ 학술지 편집위원
◆ 편집위원장
김용성, 전북대학교
◆ 편집위원
이면재, 백석대학교
김경남, 성결대학교
이원형, 중앙대학교
김정윤, 가천대학교
배재환, 동명대학교
임양미, 덕성여자대학교
전혜성, 단국대학교
김영은, 중앙대학교
N.Ch. Sriman Narayana Iyengar, VIT University
Arnold Fuentes, University of Iloilo
Michael Mayer, University of Bayreuth
Hee Sook Lee-Niiniojam, Oxford Brookes University
Yoon Hyung Sup, Jilin Animation University
Xunxun Jiang, Jilin Animation University
Tae-kyung Kim, Jilin Animation University
'디지털예술공학멀티미디어논문지'는 국내∙외 연구 및 학술활동을 촉진하고 산학연 관련 기관과 협력하여 예술, 인문, 사회, 과학, 기술 어울림과 창의적 융합학문 발전에 이바지 하고자 합니다.
- 본 논문지는 2014년 6월 30일에 창간호를 발간한 이후 매년 2 회 다양한 주제의 논문을 발간하고 있습니다.
- 본 논문지는 국문(한글) 및 영문 논문의 게재가 모두 가능합니다.
Abstract : 탈모증은 항상 의학 분야의 핵심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의사의 요구사항에 의하여 인간의 모발을 연구를 돕기 위해 자동 모발 계산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 하였다. 제안하는 시스템의 접근법은 DIHAM (모발 분석 및 측정을 위한 디지털 이미지)을 기반으로 구현하였다. 우리는 모발 수의 계산을 위해 모발 이미지 세분화를 위하여 고전적인 이진 변환 방법인 Otsu threshold를 사용하고 계수를 위해 단일 모발 영역을 분리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또한 겹치는 모발 영역에서 단일 모발 분할을 위해 Hough 변환을 활용하였다. 제안 방법의 실험결과 성공적인 결과가 도출되었다.
Keyword : 탈모증, 모발 수 계산, 허프 변환, 이미지 세분화
Abstract : 사회, 경제 구조가 지식 중심의 사회에서 문화예술 중심의 사회로 변하면서 21세기를 문화예술의 시대라 지칭하고 있다. 누구나 건강하고 쾌적한 삶의 환경을 이루고 문화예술을 향유하고, 여가 생활의 활성화를 통해 인간다운 삶을 누리도록 보장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그렇기 때문에 사회의 소외계층이라 할 수 있는 저소득층을 위한 문화예술사업이 활발하게 진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저소득층 자녀들의 문화예술복지서비스의 현주소와 앞으로의 활성화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저소득층의 개념과 특징과 문화예술복지서비스의 필요성과 사례, 활성화 방안들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사례들로 나타난 단점을 극복하고 활성화 시키는 방안으로 정책적 지원책을 마련하고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Keyword : 문화예술, 복지서비스, 저소득층 복지, 정부지원
테스트 케이스 정보를 공유하는 소프트웨어 테스팅 프레임워크
Abstract : 본 논문에서는 소프트웨어 테스팅에 소요되는 비용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테스트 자동화 도구들의 통합화 대신에 테스트 과정에서 생성된 테스트 정보를 다른 테스트 도구에서도 접근, 공용할 수 있도록하는 테스트 자동화 프레임워크를 제안하였다. 기존의 상용화된 테스트 자동화 도구들은 상호 호환성을 고려하지 않고 개발되었기 때문에 특히, 테스트 계획수립 단계에서 생성되는 테스트 케이스의 공유와 재사용이 거의 불가능하다. 현재까지 연구 결과에 의하면 자동 테스트인 경우는 테스트 계획수립 및 설계에 50-75%, 테스트 실행에 10-20%, 테스트 평가 및 시정 조치에 20-30%의 노력이 할당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자동테스트의 경우 테스트 설계 과정에서 생성된 테스트 케이스를 여러 테스트 도구들이 공유할 수 있다면 테스트에 소요되는 전체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고, 본 논문은 이러한 점을 고려하며 소프트웨어 테스팅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Keyword : 테스트케이스, 테스팅, 소프트웨어 테스트, 테스트 자동화 도구, 소프트웨어 플레임워크
Abstract : 우리나라의 문화시설은 공연시설, 전시시설, 도서시설, 지역문화 복지시설, 문화보급 전수시설, 그밖에 문화시설로 나뉜다. 이러한 다양한 문화시설들이 존재하고 있지만 아직 장애인을 위한 문화 복지 프로그램과 장소가 상당히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논문에서는 전국의 수많은 문화시설 중 전시공간인 박물관에 주목하여 시각 장애인들이 자율적으로 박물관을 이동하고 체험하며 문화 혜택을 누릴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국립중앙박물관, 국립민속박물관, 국립현대미술관 등 3기관의 프로그램을 통해 복지서비스의 현황을 살펴보고, 시각장애인을 위한 박물관 및 미술관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장애인들을 위한 현실적이고 적극적인 제도와 배려가 이루어진다면 모든 이들의 삶의 질은 높아질 수 있으며, 비장애인과 장애인이 서로 소통하는 사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 : 시각장애인, 박물관, 복지서비스, 문화시설, 편의시설
A study on painting expression utilizing digital image focused on art works of david Salle
Abstract : As image data accessability is increased along with development of mass media, visual media has been positioned at the center of our life. As one of those cases, borrowing an image would be also a method of creating an art works under the times that numerous digital image data are inundated. Application of this digital image is directly related with an issue of contemporary artists as to what type of image, meaning would be selected and expressed in which way. As a part of this phenomenon, digital elements being represented in painting works under digital times is intended to be considered through a case of David Salle. Before this, a concept of digital, analogue paintings will be comparatively analyzed. Based on preceding concept, as characteristics of painting works utilizing digital image being observed through art works of David Salle, borrowing of image, information, materialization of text, virtualization that makes boundary between virtual world and reality to be ambiguous, any other interpretation based on diversified standards, that is, extension of concept and finally possibility of new molding are represented. Unique atmosphere and possibility of new image are represented as cold attribute of digital and warm characteristics of paintings are combined. The range of area to be expressed by paintings will be extended by analyzing digital elements being represented in painting works and a positive effect to be represented when painting works accommodates digital with open mind will be considered.
Keyword : Digital Image, Analogue paintings, David Salle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