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NCIST 제 14권 4호

○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기술논문지  

ISSN(P) : 2384-101X 
ISSN(E) : 2672-1163
출판 :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학회


○ 논문투고분야 
 

본 논문지는 예술, 인문학, 사회학 분야의 연구를 멀티미디어의 다양성 및 응용성과 융합하여 유비쿼터스 시대의 근간이 되는 융합연구에 관련 연구 논문을 출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논문지에서 발간하는 논문은 다음 연구 분야에 해당하는 것으로 한다.  

 - 예술 융합 관련분야 
 - 인문학 융합 관련분야 
 - 사회학 융합 관련분야 
 - 기술 및 서비스 관련분야 
 - 기타 유관 분야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기술논문지'는 국내∙외 연구 및 학술활동을 촉진하고 산학연 관련 기관과 협력하여 예술, 인문, 사회, 과학, 기술 어울림과 창의적  융합학문 발전에 이바지 하고자 합니다. 

 학술지 편집위원 


  ◆ 편집위원장 

           김용성, 전북대학교 

  ◆ 편집위원  
           김경남, 백석대학교 
           김동조, 순천대학교 
           김정윤, 가천대학교 
           남상훈, 창원대학교 
           배재환, 동명대학교 
           이면재, 백석대학교 
           이원형, 중앙대학교 
           임양미, 덕성여자대학교 
           전혜성, 단국대학교 

 

- 본 논문지는 2012년 6월 30일에 창간호를 발간한 이후 매년 2회 다양한 주제의 논문을 발간하고 있습니다.

- 본 논문지는 2016년 한국연구재단 등재지후보지로 선정되었습니다. 

- 본 논문지는 2018년 한국연구재단 등재지로 선정되었습니다.  
- 본 논문지는 2019년 년 4회로 발행주기가 변경되었습니다.
- 본 논문지는 2021년 년 6회로 발행주기가 변경되었습니다.
- 본 논문지는 국문(한글) 및 영문 논문의 게재가 모두 가능합니다.

Journal Archive

1

공공디자인 설계를 위한 생성형 AI 프롬프트 교육 모델

송현지 | JNCIST 14(4) 441-453

Abstract : 본 연구는 공공디자인 교육 현장에서 생성형 AI(Generative AI) 도구를 활용해 학생들의 창의적 아이디어 창출을 촉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최근 디자인 교육에서 생성형 AI 도구의 활용이 증가함에 따라, 그 교육적 가능성과 제약이 더욱 명확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공공디자인 교육에서 이러한 도구를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교육 모델을 제안하였다. 연구 방법은 디자인 카운슬(Design Council)의 더블 다이아몬드(Double Diamond) 디자인 사고 프로세스를 토대로 ‘탐색 및 이해(Exploration and Understanding)’, ‘분석 및 정의(Analysis and Definition)’, ‘아이디어 확산(Idea Expansion)’, ‘시각화(Visualization)’의 네 단계로 구성하였으며, 생성형 AI 도구로 뤼튼(Wrtn)과 미드저니(MidJourney)를 활용하였다. 본 교육 모델은 단계별로 학습자가 프롬프트 작성할 때 교육 모델에서 제안한 원칙을 바탕으로 생성형 AI에 대한 의존도를 최소화하고, 자기 주도적 설계를 통해 디자인 해결안을 도출하도록 구성되었다. 이는 논리적 추론 능력을 신장하고 학습자의 주체성을 강화함으로써 생성형 AI 도구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 교육적 의의가 있다.

Keyword : 생성형 AI, 프롬프트 설계, 공공디자인 교육, 더블 다이아몬드

http://dx.doi.org/10.29056/jncist.2025.08.01

       
2

AI기반 실전 전투 스트레스 상황에서의 UX정합성 평가

박희운 | JNCIST 14(4) 455-467

Abstract : 본 연구는 군의 특수성에 적합한 실전과 유사한 전투 스트레스 상황에서 군사 시스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UX 정합성을 평가하기 위한 AI 기반 평가 구조를 제안한다. 기존 군사용 UX 시스템은 주로 기능성과 기술적 완성도에 초점을 맞춰 설계되어, 실제 사용자(장병, 지휘관 등)의 인지적 부담, 조작성, 정서적 안정성 등의 실전 전투 스트레스 요소는 충분히 고려되지 않고 있다는 것에 대한 새로운 평가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국내 군의 경우, 민간 소프트웨어의 GUI를 그대로 도입하거나 기술 중심 설계에 머무는 사례가 많아 실전에서의 조작 오류 및 임무 수행 효율성 저하를 유발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AI기반 실전 전투 스트레스 상황에서의 UX 정합성 평가 시스템은 기존 평가체계인 평시의 사용성 검증을 넘어, 실전 환경에서의 생존성 확보 및 조작 효율성 향상을 위한 전략적 UX 설계 기반을 제공하며, 향후 국방 R&D 정책과 군사용 UX 정합성 평가 기준의 표준화 운용과 군 전용 인터페이스 UX 개발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 : 군사UX,. UX정합성, 사용자경험, AI기반 평가 시스템, 인공지능

http://dx.doi.org/10.29056/jncist.2025.08.02

       
3

광고사진 산업의 생성형 AI 활용에 관한 전략적 분석 연구

심현준 | JNCIST 14(4) 469-480

Abstract : 최근 생성형 인공지능은 단순한 텍스트 프롬프트만으로 고해상도 이미지를 생성하며, 전통적인 광고사진 제작 방식에 근본적인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본 연구는 광고사진 제작에서 생산형 AI의 가능성과 제약 요인을 실무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10인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심층 인터뷰를 통해 전략적 대응 방향을 제시하였다. 도출된 진술을 토대로 SWOT 분석을 실시하고, 각 요인의 상호작용을 반영하여 TOWS 전략 매트릭스를 구성하였다. 분석 결과, 생성형 AI는 시안 제작 속도의 향상, 시각적 실험의 유연성, 비용 절감 등 실질적 장점을 보였으나, 이미지의 진정성 부족, 감성 전달의 한계, 브랜드 일관성 유지의 어려움이 제약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저작권 및 윤리적 책임 문제가 상업적 활용에서 중요한 위험 요인으로 지적되었으며, 광고 사진가의 전문성에 대한 위협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었다. 따라서 광고사진 제작에서 생성형 AI의 도입은 단순한 효율성 확보를 넘어, 윤리적 판단, 브랜드 정체성, 감성 전달을 포괄하는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

Keyword : 광고사진, 생성형AI, 심층인터뷰, SWOT분석, TOWS전략

http://dx.doi.org/10.29056/jncist.2025.08.03

       
4

Exploring Well-Being Through Audiovisual Interaction: Design and User Experience Evaluation of an ASMR-Inspired Interactive System Based on Max/MSP/Jitter

Yi Jiang, Hyun-tai Kim | JNCIST 14(4) 481-493

Abstract : This study presents an audiovisual interactive system based on Max/MSP/Jitter platform, designed to enhance emotional well-being, facilitate creative cognition, and reduce stress in non-clinical settings. In contrast to conventional treatment approaches targeting clinical populations with professional assistance and intricate sensors, this novel system allows intuitive interaction using common input devices (keyboard, mouse) with no prior experience and no special hardware. It has three modules incorporating Autonomous Sensory Meridian Response (ASMR) stimuli and retro video game aesthetics, which enable transportive multisensory experiences for everyday emotional self-regulation and stress relief. Initial user testing shows significant effectiveness in encouraging relaxation, increasing subjectively perceived happiness, and eliciting creative thinking. This research underscores the significance of accessible audiovisual design in digital arts for psychological health, recommending further exploration into participant diversity, longitudinal emotional outcomes, physiological measures, and mobile multi-user system implementations.

Keyword : well-being, audiovisual interaction, Max/MSP/Jitter, ASMR, game therapy

http://dx.doi.org/10.29056/jncist.2025.08.04

       
5

웹 기반 주제도의 UI 디자인 분석

정서연, 정원호, 권지은 | JNCIST 14(4) 495-507

Abstract : 최근 공공 데이터의 개방이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확대됨에 따라, 기존에는 전문가 중심으로 공공기관 내 특정 수요자에게 한정적으로 제공되던 데이터가 점차 일반 국민에게도 접근 가능하도록 전환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과 함께, 주제도(Thematic Map)를 활용한 정보 시각화 방식이 주목받고 있다. 특히 웹을 기반으로 하는 주제도는 다양한 주제의 데이터를 직관적으로 시각화함으로써 사용자의 정보 접근성과 탐색 편의성을 높이는 중요한 수단으로 기능하고 있다. 이러한 주제도가 효과적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사용자 관점에서 쉽고 명확하게 정보를 이해할 수 있도록 설계된 인터페이스 디자인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논문의 목적은 웹 기반 주제도의 UI(User Interface) 디자인 요소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정보 탐색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인터페이스 디자인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첫째, 주제도와 관련된 문헌 조사를 통해 웹 기반 주제도의 개념과 UI 디자인 요소를 연구한다. 둘째, 국내외에서 운영 중인 8개의 웹 기반 주제도 사례를 선정하여 문헌 조사를 통해 도출한 디자인 요소를 기준으로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사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웹 기반 주제도의 시각적 요소 특징을 도출하고, UI 디자인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향후 웹 기반 주제도의 UI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마련하는 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 : 지도, 웹서비스, 주제도, UI 디자인, 사용성

http://dx.doi.org/10.29056/jncist.2025.08.05

       
6

브랜드 로고 리디자인이 소비자의 인지부조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식품 브랜드 리디자인을 중심으로-

시이남, 김희현 | JNCIST 14(4) 509-520

Abstract : 본 연구는 브랜드 로고 리디자인에서 시각 요소의 변화가 소비자에게 인지부조화를 유발하며, 결과적으로 브랜드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고찰 하였다. 최근 시장 경쟁이 심화되고 브랜드 리디자인의 필요성이 높아지면서, 많은 기업들이 브랜드 로고의 시각적 요소를 재정비하고 있다. 그러나 로고의 급격한 변화는 기존 소비자의 브랜드 인식을 혼란스럽게 만들 수 있으며, 이는 심리적 불일치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중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식품 브랜드 로고 리디자인 시 서체, 색상, 심볼, 레이아웃 등 네 가지 시각 요소가 인지부조화 및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총 321부의 유효 응답을 수집하였으며, 자기 평가 방식의 설문조사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빈도 분석을 사용하였고, 각 시각 요소가 인지부조화를 유발하는 정도와 브랜드 신뢰도 및 구매 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서체의 변화가 가장 큰 인지 불일치를 유발하며, 그 뒤를 색상과 심볼 요소가 따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들은 기존 로고와의 시각적 불일치가 클수록 혼란과 불안감을 느끼며, 이는 브랜드 평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Keyword : 로고 리디자인, 인지부조화, 시각 일관성, 브랜드 태도, 식품 브랜드

http://dx.doi.org/10.29056/jncist.2025.08.06

       
7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자기표현과 어포던스가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PAD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전영진, 전종우 | JNCIST 14(4) 521-534

Abstract : 본 논문은 메타버스에 대한 PAD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과 PAD의 결과요인을 살펴본 연구이다. 메타버스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기표현과 어포던스가 PAD에 미치는 영향과 PAD를 거쳐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자기표현은 PAD 중 각성과 지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어포던스는 즐거움, 각성, 지배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PAD 중 즐거움은 이용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지배는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자기표현과 어포던스는 PAD를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이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메타버스 이용의도를 위한 자기표현과 어포던스, PAD의 역할과 관계가 중요하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더불어 메타버스 내에서 이용자가 경험하는 PAD의 메커니즘을 제공함과 동시에 자기표현과 어포던스에 따른 PAD 변화와 이용의도 관계를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선행연구와 달리 자기표현이 유희라는 즐거움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증명한 점, 그리고 메타버스 기반에서 자기표현이 각성과 지배에 영향을 미치는 사례가 부족한 상황에 그 영향을 실증하였다는 것이 시사하는 바가 크다.

Keyword : 메타버스, 자기표현, 어포던스, PAD, 이용의도

http://dx.doi.org/10.29056/jncist.2025.08.07

       
8

MZ세대를 위한 명상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경험 분석: 캄, 헤드스페이스, 코끼리 중심으로

최승용, 김승인 | JNCIST 14(4) 535-547

Abstract : 본 연구는 명상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MZ세대의 사용자 경험을 확인하고, 이를 통해 ‘캄’, ‘헤드스페이스’, ‘코끼리’를 분석하여 명상 서비스의 개선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코로나19 이후 사회 및 경제 상황으로 인하여 MZ세대는 정신 건강의 악화를 겪고 있어 이를 스스로 개선하기 위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선행 연구를 통해 명상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사용자 경험 요인 5가지를 도출하였다. 또한, MZ세대를 대상으로 도출된 사용자 경험 요인에 관하여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고 명상 애플리케이션 ‘캄’, ‘헤드스페이스’, ‘코끼리’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명상 콘텐츠는 최소한의 단계를 거쳐 실행되어야 한다. 둘째, 다양한 테마의 콘텐츠가 갖춰져 있어야 한다. 셋째,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상호성을 향상시켜야 한다. 넷째, 사용자들이 명상에 대한 지속성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는 MZ세대의 명상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경험에 관한 연구의 기초 자료로써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Keyword : 명상, 애플리케이션, MZ세대, 사용자 경험, 콘텐츠

http://dx.doi.org/10.29056/jncist.2025.08.08

       
9

디자인 융합 교육 강화를 위한 모듈형 교육과정 개발 및 적용 방안 연구

이경아 | JNCIST 14(4) 549-560

Abstract : 최근 고등교육에서는 융합적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모듈형 교육과정의 필요성이 점차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본 연구는 디자인 융합 교육을 대상으로 모듈형 교육과정의 구조적 특성과 적용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특히 K대학교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과에 적합한 특화된 모듈형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그 구체적인 적용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주요 목표로 삼았다. 먼저 이론적 고찰을 통해 모듈형 교육의 개념, 발전 과정, 핵심 설계 원리를 정리하였으며, 국내외 사례 비교를 통해 유형과 구조적 특성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2020~2023년 CQI 분석 자료와 학과 특성화 전략을 반영하여 미래첨단특화(FT)와 글로벌특화(GI) 두 가지 트랙 중심의 교과 구성 방향을 설정하였다. FT와 GI 트랙은 디지털 실무 역량, 글로벌 소통 능력, 문제해결 기반 학습을 강화하기 위한 교과목으로 구성되었으며, 학습자가 실무 경쟁력과 국제적 역량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더불어 학습자의 진로와 수준에 따라 유연한 경로 설계를 지원하는 하이브리드형 모듈형 교육과정 모델을 개발하였다. 이 모델은 학습자 중심의 선택권을 확대하면서도 교과과정의 체계성과 전문성을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닌다. 또한 본 연구는 고등교육의 융합적 환경 변화에 대응하는 전략으로서 모듈형 설계의 유효성을 검토하고, 디자인 교육의 혁신 방향을 제시한다는 데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는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과뿐 아니라 인접 학문 분야의 교과 개편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지속 가능한 교육 혁신 모델로 확산될 가능성을 보여준다.

Keyword : 모듈형 교육과정, 디자인 융합, 교육 혁신, 트랙 기반 교육 모델, 학습자 중심 설계

http://dx.doi.org/10.29056/jncist.2025.08.09

       
10

뇌과학 및 인지신경과학 기반 연극치료에서 창의성 발현의 신경 메커니즘 탐구

황소연 | JNCIST 14(4) 561-571

Abstract : 본 연구의 목적은 뇌과학 및 인지신경과학 이론에 기반하여 연극치료가 창의성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그 신경 메커니즘을 탐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신경과학, 예술학, 심리학, 사회학 등 다양한 분야를 통합한 학제 간 접근을 활용한다. 현대 사회에서 창의성은 점점 더 개인의 능력뿐만 아니라 인지적·사회적 자원으로 간주된다. 일부 연구에서는 창의성과 관련된 감정적, 인지적, 사회적 상호작용이 뇌의 특정 영역을 어떻게 활성화하는지를 다루고 있다. 그러나 연극치료가 창의성 발현을 촉진하는 데 있어 구체적인 신경과학적 근거는 아직 부족한 상태이다. 이에 연구자는 연극치료와 창의성 발현 간의 관계뿐만 아니라, 관련된 신경 메커니즘 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통합적 탐구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연구 결과는 연극치료가 상상력, 감정표현, 사회적 상호작용을 포함하는 융합예술로서 뇌의 창의적 사고를 촉진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하며, 이를 바탕으로 치료적 및 교육적 개입을 통해 창의성을 계발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을 제안한다. 더불어 향후 임상 및 교육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실증적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 데에도 학문적 의의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 : 연극치료, 창의성, 뇌과학, 인지신경과학, 융합예술

http://dx.doi.org/10.29056/jncist.2025.08.10

       
11

활주로형 횡단보도의 교통안전 개선 효과 분석

김동협, 한대철 | JNCIST 14(4) 573-584

Abstract : 본 연구는 야간 보행자 안전 확보를 위해 설치된 활주로형 횡단보도의 설치 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경상북도 보행 취약지역 8개 지점을 대상으로 활주로형 횡단보도를 설치하고 설치 전과 후의 차량 주행속도를 수집하였다. 자료는 야간 시간대(19시~21시)에 수집하였으며, 평균 주행속도 변화를 독립표본 t-검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9개 조사지점 중 8개 지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속도 감소가 나타났고, 전체 평균 주행속도는 26.5km/h에서 20.9km/h로 약 5.6km/h의 평균 주행속도 감소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대부분의 지점에서 설치 후 소도 분포의 편차가 줄어들어 운전자들의 감속 반응이 일관되게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활주로형 횡단보도가 시각적 주의를 통해 운전자들에게 특정지점으로 진입하고 있다는 정보를 제공하여 주행속도 감속을 유도함으로써 보행자 안전성 제고에 기여함을 의미한다. 향후 다른 안전지설과의 연계, 지역 특성을 반영한 시설 설계, 주민 참여를 통한 시설 효과를 극대화할 필요성이 있다.

Keyword : 활주로형 횡단보도, 보행안전, 교통안전시설, 현장 실험

http://dx.doi.org/10.29056/jncist.2025.08.11

       
12

쿼드러플 헬릭스 기반 창업기업 거래비용 완화를 위한 연구 : 기술창업 생태계 성장을 위한 이론적 통합 중심으로

윤재만, 김재운, 장봉임 | JNCIST 14(4) 585-597

Abstract : 본 연구는 창업생태계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 쿼드러플 헬릭스 관점에서 다양한 이론적 통합을 기반으로 창업기업의 생존율 및 경쟁력 강화 방안을 탐색했다. 그 결과, 쿼드러플 헬릭스 기반 창업생태계 주체 간 입지 환경에 관계성이 있음을 확인했으며, 산업(기업)은 생존과 성장에 직결되는 경제성, 접근성 등 입지 요인에 영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쿼드러플 헬릭스 모델의 주체 중 정부는 안정적 재원 운영과 시장변화에 따른 조직규모 조절 등으로 상대적으로 다른 주체보다 입지 환경에 영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기업)이 지속 가능한 성장과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외부의 지식과 기술에 대한 흡수능력 강화와 다양한 주체 간 협력으로 외부 환경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경쟁력이 필요하다. 또한 거래비용을 완화할 수 있도록 쿼드러플 헬릭스 구성요인 간 선순환 체계 재구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쿼드러플 헬릭스 요인 간의 운영체계 개편은 향후 지역의 창업생태계 자생력 확보와 산업(기업)의 생존율 제고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게 하여 기존의 높은 거래비용을 낮추는데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혁신중개조직(창조경제혁신센터, 테크노파크)의 보유 자원을 활용하여 중소벤처기업의 높은 거래비용을 낮추는 방향으로 정책을 전환함으로써 기업이 스스로 성장할 수 있도록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Keyword : 쿼드러플 헬릭스, 입지환경, 흡수능력, 협업, 오픈이노베이션, 거래비용, 창업생태계, 창조경제혁신센터, 테크노파크

http://dx.doi.org/10.29056/jncist.2025.08.12

       
13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