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NCIST 제 8권 2호

○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기술논문지 

ISSN(P) : 2384-101X
ISSN(E) : 2672-1163
출판 :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학회


○ 논문투고분야
 

본 논문지는 예술, 인문학, 사회학 분야의 연구를 멀티미디어의 다양성 및 응용성과 융합하여 유비쿼터스 시대의 근간이 되는 융합연구에 관련 연구 논문을 출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논문지에서 발간하는 논문은 다음 연구 분야에 해당하는 것으로 한다.  

 - 예술 융합 관련분야
 - 인문학 융합 관련분야
 - 사회학 융합 관련분야
 - 기술 및 서비스 관련분야
 - 기타 유관 분야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기술논문지'는 국내∙외 연구 및 학술활동을 촉진하고 산학연 관련 기관과 협력하여 예술, 인문, 사회, 과학, 기술 어울림과 창의적  융합학문 발전에 이바지 하고자 합니다.

 학술지 편집위원


  ◆ 편집위원장

           김용성, 전북대학교

  ◆ 편집위원  

           이면재, 백석대학교

           이원형, 중앙대학교

           김정윤, 가천대학교

           배재환, 동명대학교

           임양미, 덕성여자대학교

           전혜성, 단국대학교

           김영은, 중앙대학교

           김경남, 백석대학교

           N.Ch. Sriman Narayana Iyengar, VIT University

           Arnold Fuentes, University of Iloilo

           Michael Mayer, University of Bayreuth

           Hee Sook Lee-Niiniojam, Oxford Brookes University

           Yoon Hyung Sup, Jilin Animation University

           Xunxun Jiang, Jilin Animation University

           Tae-kyung Kim, Jilin Animation University

- 본 논문지는 2012년 6월 30일에 창간호를 발간한 이후 매년 2회 다양한 주제의 논문을 발간하고 있습니다.

- 본 논문지는 국문(한글) 및 영문 논문의 게재가 모두 가능합니다.

- 본 논문지는 2016년 한국연구재단 등재지후보지로 선정되었습니다.
- 본 논문지는 2018년 한국연구재단 등재지로 선정되었습니다. 
- 본 논문지는 2019년 년 4회로 발행주기가 변경되었습니다. 

Journal Archive

1

뮤지엄의 가상현실 오감체험에 관한 연구

김연희 | JNCIST 8(2) 103-112

Abstract : 오늘날 4차산업혁명시대의 보편화된 가상현실(Virtual Reality)은 일반인도 쉽게 접할 수 있다. 게임 · 영상 · 교육 · 예술 등 VR 관련 사업들의 시장경제 체제는 이미 활성화 되었고 이러한 시대적 변화는 공공교육기관인 뮤지엄에도 많은 변화를 주고 있다. 가상현실로 구축된 뮤지엄의 전시공간은 시공간의 제약을 최소화하고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게 컴퓨터 자원을 활용할 수 있도록 현실 세계와 가상 세계를 결합시킨 유비쿼터스(UBIQUITOUS)환경으로 변화하고 있다. 또한 전시와 교육, 체험프로그램에 다양한 뮤지엄 콘텐츠를 제공하여 관람객들을 적극적인 문화소비자로 만들고 있다. 그러나 대다수의 뮤지엄은 여전히 고전적인 실물 위주의 전시체계로 운영되고 있으며 뮤지엄에 설치된 각종 장치들은 기기의 높은 비용 · 이동의 불편함 · 낮은 해상도 · 콘텐츠 부족 등의 문제점으로 인해 전시나 교육의 보조적인 수단으로 활용될 뿐 뮤지엄의 패러다임 자체를 바꾸지는 못했다. 이에 본 논문은 뮤지엄 활성화를 위한 가상현실의 다양한 활용방안으로 가상공간 내에서 오감을 통한 원활한 상호작용과 관련한 가상현실 콘텐츠 연구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인간과 컴퓨터 사이의 인터페이스인 VR에 오감의 원리를 적용하여 개발되고 있는 사례를 살펴보고 논의하고자 한다.

Keyword : 가상현실, 뮤지엄, 오감체험, 유비쿼터스, 과학기술, 콘텐츠

http://dx.doi.org/10.29056/jncist.2019.06.05

       
2

건강관리서비스가 노인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요인 분석

정은영,박동균 | JNCIST 8(2) 113-124

Abstract : 본 연구에서는 건강관리서비스에 참여한 65세 이상의 노인 153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서비스실시 전∙후의 삶의 질을 비교함으로써 서비스의 참여효과를 검증하였다. 대상자의 삶의 질을 측정하기 위하여 ‘노인 삶의 질 척도(Geriatric Quality of Life scale)’를 사용하였으며, 분석 시에는 사후 평균에서 사전 평균을 뺀 값을 변수로 활용하였다. 전체 응답자 회귀분석 결과, 독립변수 중 활동능력, 자아존중감, 환경이 모두 전반적인 건강생활 변화에 대해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특히 활동능력의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통제변수 중에서는 학력 수준이 유의한 영향 요인으로 나타났다. 서비스지역별로 도시와 지방을 구분하여 각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도시모델에서는 활동능력이, 지방모델에서는 자아존중감, 환경, 활동능력 순으로 전반적인 건강상태 변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전반적인 건강생활과 노인의 삶의 질 개선과 관련한 건강관리서비스 운영 시 고려사항 및 우선순위를 파악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해준다.

Keyword : 고령자, 삶의 질, 건강증진, 헬스케어

http://dx.doi.org/10.29056/jncist.2019.06.02

       
3

고령자의 삶의 질을 위한 사회적 인터페이스 연구- 일상생활 요인을 중심으로 -

이혜민,반영환 | JNCIST 8(2) 125-140

Abstract : 첨단 IT기술과 관련 산업의 발전은 의료기술의 고도화를 함께 하고 있으며, 현 인류는 글로벌 고령화를 경험하고 있다. 많은 학문분야에서는 고령화로 야기될 수 있는 사회 문제를 대비하여 고령자를 위한 복지·정책과 삶의 만족도 연구를 지속하고 있다. 특히, 고령자 삶의 만족도에 대한 연구는 인구사회학 측면의 객관적 지표에서 정서적 측면의 주관적 지표 연구로 확장되었다. 변화하는 사회 구조를 맞이하고 새로이 등장하는 고령자 계층을 위해 디자인영역 또한 고령자 경험 측면의 디자인 연구가 필요하다. 이 연구는 일상생활에서 고령자의 사회적 인터페이스를 정의하며, 이를 통해 사회적지지와 같은 정서적 지원 경험을 제공하는 고령자의 관계망을 도출한다.

Keyword : 사용자 경험, 삶의 질, 글로벌 고령화, 고령자 디자인, 고령자의 사회적 인터페이스

http://dx.doi.org/10.29056/jncist.2019.06.03

       
4

성인의 인권의식에 영향을 미치는심리적 및 인권관련 경험적 요인 탐색

전혜성,이종구 | JNCIST 8(2) 141-152

Abstract : 본 연구는 성인의 인권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의 심리적 요인 및 인권관련 경험적 요인의 영향력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심리적 요인으로는 자존감 및 타인공감을, 인권관련 경험으로는 인권활동 및 인권교육 경험을 독립변인으로 설정하였고, 인권의식을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였다. 본 조사의 자료수집을 위하여 경기도 및 충청도에 위치한 대학원에 재학 중인 성인들을 조사대상으로 편의 표집하였다. 조사기간은 2018년 11월 25일부터 12월 25일까지였으며 설문에 참여한 응답자들은 총 501명이었다. 그 중에서 여러 항목을 누락하거나 성실하게 답변하지 않은 32부의 설문지를 제외하고 469부만을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여 검증한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 개인의 심리적 요인인 자존감 및 공감능력은 인권의식을 높이는 영향요인으로 제시되었다. 둘째, 인권관련 경험적 요인인 사회적 약자에 대한 인권서명 및 자원봉사 또한 성인의 인권의식을 높이는 주요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반면에 보편적으로 실시되는 일방적 강의형태의 인권교육은 인권의식을 높이는 요인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자존감 및 타인공감, 인권서명 경험 및 자원봉사 경험 등이 많을수록 인권의식이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는 반면, 단순한 강의형태의 인권교육은 성인의 인권의식을 높이는데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Keyword : 성인, 인권의식, 심리적 요인, 인권관련 경험, 자존감, 타인공감, 인권활동, 인권교육

http://dx.doi.org/10.29056/jncist.2019.06.01

       
5

공공 공연장의 대관료 할인 정책에 관한 적정성 연구

유주연,조남규 | JNCIST 8(2) 153-166

Abstract : 공공 공연장에서의 대관료 할인 적용 기준은 공연장별로 서로 다른 내용의 조례와 규정에 의거하여 결정되고 있다. 때로는 국가나 지자체로부터 보조 또는 후원을 받는 공연프로그램과 행사가 해당 기관의 조례와 규정의 적합성을 근거로 공연장 대관료를 할인 받음으로써 이중적 혜택 논란과 함께 공정성에 대한 문제도 제기되기도 하며 이러한 문제는 결국 공연장의 수지율(收支率) 저하의 또 다른 하나의 요인으로 작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공공 공연장에 대한 공공지원의 이론적 근거와 조례와 규정 분석을 통해 대관료 할인 정책이 공연장의 재정자립도에 미치는 영향 등을 분석하고 그 적정 대안으로서의 구체적 방향성을 모색 하고자 한다. 정량적 분석으로 124개의 공연장에 대한 최근 3개년에 대한 대관료 할인 유무에 따른 수지율 조사와 함께 정성적 분석 방법으로는 공연 실무 담당자와 전문가 그룹 인터뷰를 통하여 공공 공연장의 대관료 할인 정책의 지속가능성에 대하여 연구 분석하였다.

Keyword : 대관료, 할인정책, 규정, 재정자립도, 지속가능성

http://dx.doi.org/10.29056/jncist.2019.06.07

       
6

관계 및 집단적 관점을 포함하는 사용자 조사 방법 ‘나무 워크샵’ 개발

나유리,김성우 | JNCIST 8(2) 167-186

Abstract : 디자이너는 다양한 사용자 조사방법을 수행하여 사용자를 이해하고자 하지만 현존하는 방법들이 충분하다고 할 수는 없다. 이해관계자 지도는 이해관계자 및 조직간 관계를 시각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하지만 관계와 집단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 방법은 아직 보편화 되어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관계와 집단의 특성을 포함한 사용자 조사 방법인 나무 워크샵을 개발하였다. 나무 워크샵은 개인이해 단계, 상호작용 단계, 집단이해의 3단계로 구성된다. 전문가 검증 결과 나무 워크샵은 개인의 정보와 함께 상호작용을 유도하여 관계와 집단의 특성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나무 워크샵 실험을 통해 제품, 서비스, 공간 등을 공유하는 집단에게 나무 워크샵이 더욱 효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였으며 이해관계자 지도의 완성도 또한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Keyword : 사용자 조사 방법, 포커스 그룹 인터뷰, 나무 워크샵, 이해관계자 지도

http://dx.doi.org/10.29056/jncist.2019.06.06

       
7

네트워크침입탐지에의 랜덤포레스트알고리즘 적용

알리타 알폰소나 럭바훈가,심동희 | JNCIST 8(2) 187-202

Abstract : 랜덤포레스트는 분류나 회귀분석 등에 사용되어왔던 알고리즘이다. 최근 보안이 강조되면서 네트워크보안을 강화하기 위하여 침입탐지시스템이 개발되어 사용되어 왔다. 침입탐지를 위하여 많은 기법들을 개발하여 이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랜덤포리스트알고리즘을 KDD Cup 1999를 이용하여 네트워크침입탐지에 적용하여 다른 분류에 사용되는 알고리즘과 성능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Naive Bayes, J48 등의 방법들보다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Keyword : 랜덤포레스트, 침입탐지시스템, 네트워크보안, KDD Cup 1999, J48, 네이브 베이즈

http://dx.doi.org/10.29056/jncist.2019.06.04

       
8

Analysis of a Decentralized Mobility Management Support for Adaptive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of

Ronnie D. Caytiles,Byungjoo Park | JNCIST 8(2) 203-212

Abstract : Recently,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SHM) for social-overhead capital (SOC) public infrastructures has become a significant factor to prevent the occurrences of untoward accidentsevents to ensure public safety. SHM has evolved to the utilization of wireless sensor networks (WSNs) as the core on realizing the real-time and continuous monitoring of such infrastructures. This paper deals with the decentralized mobility management support for an adaptive SHM system intended for SOC public infrastructures in order to prevent disastrous events and accidents caused by natural calamities and disasters as well as to minimize traffic build-up and untoward accidents. The optimization of distributed mobility management (DMM) solutions to provide a robust dataflow of structural and environmental information can be essential in delivering immediate and critical information for an adaptive SHM system to guarantee public safety.

Keyword :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SHM), Distributed mobility management (DMM), Social-overhead capital (SOC), context awareness

http://dx.doi.org/10.29056/jncist.2019.06.10

       
9

Fast R-CNN 기법을 활용한 대장 내시경 가이드 알고리즘 개발

은성종,정은영,박동균 | JNCIST 8(2) 213-222

Abstract : 본 논문은 대장암 환자의 대장 내시경 시행시 진단의에게 실시간으로 보조적인 가이드를 제공해주고자 제안되었다. 제안 방법은 두 가지의 정보를 활용하여 대장 내시경 가이드를 진행한다. 첫 번째 대장 내시경의 모션 벡터 기반 속도 가이드 방법과 두 번째로 특정 구간에서의 대장 용종 유무를 판단하여 적절한 속도 가이드를 위해 알람을 제공해주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개발 알고리즘의 정확도 및 적절성을 평가하기 위해 임상의 기준과 비교 평가하였으며, 추가로 대장용종 유무 인식에 대한 정확도 판단을 위해 기존 영상 처리 방법을 활용하였다. 비교 평가 결과 평균 96%의 정확도를 도출하여 제안 방법이 보다 효과적이고 정확도가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연구로 추가적인 딥러닝 기술을 활용하여 내시경시 보다 환자 맞춤형 요소를 높이는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Keyword : 대장 내시경, 내시경 속도, 대장 용종, 합성곱 신경망, 빠른 영역기반 합성곱 신경망

http://dx.doi.org/10.29056/jncist.2019.06.09

       
10

실사 기반 VR 360 영상의 연출 특성에 따른 사례분석 연구

김동조,이상화 | JNCIST 8(2) 223-234

Abstract : 평면 스크린에 재생된 영상들은 시공간의 연속성에 대해 제한을 받아 왔으나, 360도 화면의 가상현실 스크린은 형태의 변화로 인해 환경적 몰임감을 주어지게 한다. 스크린의 형태 변화는 새롭게 정의되는 영상 언어들이 생산되며 이에 적합한 연출 특성의 연구가 필요하다. 이는 360도의 스크린 형태에 따른 영상 공간을 이루는 영상 내적 요소들이 종합적으로 다른 방식을 추구하게 되는데 이를 가상현실 영상 연출법으로 정립하기 위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본 논문은 실사 기반의 가상현실 영상에 대한 개념과 제작방법을 살펴보고 관련 사례들을 분석하여 영상 연출 특성을 도출하고자 한다.

Keyword : 가상현실, 360 카메라, 영상연출, HMD

http://dx.doi.org/10.29056/jncist.2019.06.08

       
11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