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Connection between Projection Mapping of Real s and Virtual Image Spaces
키워드(원어)
미디어 파사드, 도시 브랜딩, 공공성, 미디어 전시, 가상 공간
키워드(영어)
저자
김동조
초록(원어)
최근 미디어의 발전으로 도시 이미지를 형성하는 대형 파사드의 연출이 진행되고 있다. 도시 브랜딩 전략에서 미디어 파사드가 갖는 공공성을 분석하여 도시 브랜드 이미지 형성에 영상을 미치고 있다. 도시 브랜딩은 물리적, 사회문화적, 경제적, 정서적 요소가 상호작용하여 형성되며 미디어 파사드는 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핵심 매체로 기능한다. 뉴욕 타임스퀘어와 프랑스 리옹 빛의 축제 사례를 보면 미디어 파사드는 단순한 광고를 넘어 공공예술과 시민 참여를 촉진하며 도시와 사람 간의 정서적 유대를 강화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공공적 기능은 도시 브랜드 애착을 높이고 도시의 글로벌 경쟁력과 지속가능한 발전에 기여한다.
박물관 관람객 수요에 기반한 맞춤형 멤버십 시스템 설계 연구 : 항공․호텔․유통 산업 사례를 중심으로
제목(영어)
A Study on Designing a Customized Museum Membership System Based on Visitor Demand : Focused on Casesthe Airline, Hotel, and Retail Industries
키워드(원어)
박물관 멤버십, 관람객 충성도, 행동 데이터 기반 전략, 민간 사례 적용, 지속 가능한 운영
키워드(영어)
저자
김선민, 김연희
초록(원어)
박물관은 문화유산 보존과 교육이라는 고유 기능 외에도, 지속 가능한 운영과 안정적인 관람객확보라는 과제에 직면해 있다. 전시나 교육 프로그램 등 다양한 관람객 유치 방식이 활용되고 있지만, 단발성 방문이 많은 현실에서는 장기적인 관계 형성에 한계가 존재한다. 이에 따라 자발적 후원을 유도하고 지속적인 참여를 이끌어낼 전략으로 멤버십 제도의 도입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멤버십은 단순한 입장 혜택을 넘어, 관람객 데이터를 기반으로 등급제, 포인트, 외부 제휴, 개인화 서비스를 연계함으로써 관람 경험의 질을 높이고, 충성도 중심의 운영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항공, 호텔, 유통 산업의 멤버십 전략 구조를 분석하고, 이를 박물관에 적용 가능한 모듈로 재구성하였다. 문헌 및 사례 분석을 통해 전략의 실효성을 검토하고, 맞춤형 실행 모델과 제도적․정책적 조건을 제시하였다.
뮤지엄의 숏폼(Short-form) 콘텐츠 유형이 관람객 반응에 미치는 영향 : 참여의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제목(영어)
A Study on the Effects of Museum Short-form Content Types on Audience Responses: Focused on the Mediating Role of Participation Intention
키워드(원어)
뮤지엄, 인스타그램, 숏폼 콘텐츠, 관람객 반응
키워드(영어)
저자
김소현, 김연희
초록(원어)
본 연구는 국내 주요 뮤지엄이 인스타그램에서 운영하는 숏폼(Short-form) 콘텐츠의 유형에 따라 관람객 반응에 차이가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인스타그램 계정을 활발히 운영하고 있으며 팔로워 수 15만 명 이상인 5개 뮤지엄을 사례로 선정하고, 이들이 게시한 숏폼 콘텐츠를 정보형, 감성형, 참여유도형의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이후 해당 콘텐츠를 접한 경험이 있는 관람객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각 콘텐츠 유형에 따른 참여의도 및 방문의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고, 참여의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콘텐츠 유형에 따라 참여의도와 방문의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참여의도는 방문의도에 유의한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뮤지엄의 숏폼 콘텐츠가 관람객의 행동적 반응을 유도하는 데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하며, 향후 디지털 콘텐츠 전략 수립 시 콘텐츠 유형별 기획 방향 설정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Media Technology and the Future of Museum Experience
키워드(원어)
뮤지엄, DAMS, AR/VR, AI챗봇, AI큐레이션
키워드(영어)
저자
김예지, 김연희
초록(원어)
오늘날 문화예술기관에서는 첨단 미디어 기술을 활용하여 관람객 경험을 혁신하는데 주목하고 있다. 뮤지엄은 전통적으로 유물의 보존 및 관리와 문화예술 향유기회의 제공이라는 두가지 핵심 역할을 수행해왔으나, 현대 사회에서는 이 역할들이 기술의 진보와 관람 방식의 변화에 따라 새롭게 재정의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변화의 흐름 속에서, 뮤지엄의 운영기술의 진화와 관람객 경험 형태의 변화를 살펴보고, 최신 기술 동향과 동작 매커니즘이 적용된 대표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문화에술기관이 나아가야 할 발전 방향과 실천적 제언을 제시하고자 한다.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Eco-Friendly Purchase Intention in AI-Driven Shopping
키워드(원어)
AI, 쇼핑 호스트, e커머스, 신뢰도, 친환경
키워드(영어)
저자
송니은, 김은정
초록(원어)
AI 기술 발전으로 AI 쇼핑 호스트의 역할은 e커머스에서 점차 확대되고 있으나, 소비자와의 신뢰구축은 여전히 중요한 과제로 남아있다. 특히 친환경 브랜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AI 쇼핑 호스트의 신뢰도가 친환경 브랜드 구매 의도에 미치는 구체적인 영향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본 연구는 AI 쇼핑 호스트의 신뢰도가 소비자의 친환경 브랜드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신뢰도를 구성하는 주요 요인으로 전문성, 신뢰성, 매력도, 유사성을 설정하였으며, 이 신뢰도가 친환경 제품 구매 행동 의도로 이어지는 메커니즘을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해 AI 기술 수용 및 신뢰도에 대한 기존 연구를 친환경 소비 맥락으로 확장하고, 기업에게 AI 쇼핑 호스트를 활용하여 지속가능한 소비를 촉진하는 전략적 통찰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Research of Untacted Exhibition’s effectiveness-With introduction of VR technology
키워드(원어)
가상현실, 국립중앙박물관, 비대면, 관람객 경험 평가, 효과성
키워드(영어)
저자
김진, 김연희
초록(원어)
디지털 기술의 발전은 영화, 드라마 등의 영상물에서부터 게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매체에 적용되었다. 이러한 발전의 과정에서 가상현실(Virtual Reality),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혼합현실(Mixed Reality)과 같은 매체가 등장했고, 실감 콘텐츠라는 새로운 형식의 영상이 제작되었다. 일방향 전시 프로그램의 한계를 뛰어넘고, 관람객과의 소통을 도모하고자 박물관에서는 이와 같은 기술의 발전에 발맞추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맥락에서 최근 5년간(2020년~2024년)의 국립중앙박물관의 사례를 통해 가상현실 기술이 도입된 전시 프로그램이 어떠한 성과를 거두었는지 평가의 측면에서 그 효과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또한 이를 통해 향후 어떻게 박물관이 효과적으로 관람객과 전시물의 상호작용성을 높이고, 전시를 통해 관람객과 소통할 수 있을지 제안하고자 한다.
Psychological Factors Influencing Player Spending in Games
키워드(원어)
게임, 이용자, 유료, 콘텐츠, 구매 심리, 핵과금
키워드(영어)
저자
박형준, 김정윤
초록(원어)
본 논문은 게임 유료화 콘텐츠 구매율이 높은 이용자의 구매 심리를 탐구하기 위하여 데이터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단어 빈도 분석 결과를 심리학 기반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유료화 콘텐츠 소비의 심리적 동기는 각각 ‘성취 및 즐거움’, ‘성능 및 가치’, ‘사회성 및 경쟁’ 순서로 단어 군집이 형성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게임 개발 단계에서 이용자 중심 수익 모델 설계의 실증적 기반을 제공한다.
Prompt Design for Character Generation Using Generative AI
키워드(원어)
게임, 캐릭터, 생성형 AI, 프롬프트, 진화심리학
키워드(영어)
저자
박형준, 김정윤
초록(원어)
본 논문은 최근 창작 도구로 주목받고 있는 생성형 AI를 활용한 게임 캐릭터 제작을 위해, 진화심리학 기반 프롬프트 구조를 설계하고 생성형 AI 상용 플랫폼에 적용하여 캐릭터를 생성하였다. 실험 결과, 생성형 AI는 프롬프트를 제시한 제작자 의도에 맞게 캐릭터를 생성하였으나, AI 플랫폼에 따라 생성되는 캐릭터 이미지에 각각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게임 캐릭터 구상 단계에서 컨셉에 맞는 프롬프트를 구성하고 AI 플랫폼을 선택하여 개발 효율성을 높이는 기반을 제공한다.
<Uncover the Smoking Gun> 리뷰 분석을 통한 AI NPC 상호작용에 대한 인식 탐색
제목(영어)
Investigating Player Perception of AI NPC Interaction in <Uncover the Smoking Gun> through Topic Modeling
키워드(원어)
AI, AI NPC, LLM, 게임, 토픽모델링
키워드(영어)
저자
유정은, 김정윤
초록(원어)
AI 기술이 게임 플레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AI NPC 기반 추리 게임 <Uncover the Smoking Gun>의 Steam 리뷰 중 AI 관련 키워드가 포함된 143건을 선별하여 LDA 토픽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플레이어들은 동적 대화와 사건 해결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 반응을 보였으며, AI 배경 지식에 따라 환각 현상을 결함으로 보거나 자연스러운 난이도로 수용하는 등 인식 차이를 나타냈다. 일부는 AI를 메타적으로 해석하며 기술 체험으로 게임을 접근하기도 하였다.
스마트 안경과 게임 산업 간 연관 구조 분석: CONCOR 기법을 활용한 네트워크 기반 연구
제목(영어)
A Network-Based Study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mart Glasses and the Game Industry Using CONCOR
키워드(원어)
스마트 안경, 게임 산업, 기술 융합, 사용자 경험, 시장 전략
키워드(영어)
저자
이소진, 김정윤
초록(원어)
본 연구는 스마트 안경과 게임 산업 간의 구조적 연관성을 규명하기 위해 키워드 네트워크 기반 CONCOR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기술 융합, 사용자 경험, 산업 생태계, 제품 및 서비'스 네 가지 주요 군집이 도출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스마트 안경 기반 게임 서비스 개발에 있어 기술 구현뿐 아니라 사용자 경험과 시장 대응을 통합적으로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A Preliminary Study on the Adoption of Metaverse Export Biz Platforms for Regional SMEs
키워드(원어)
메타버스, 수출 플랫폼, 디지털무역, 중소기업
키워드(영어)
저자
이재훈, 이준영
초록(원어)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의 주력산업 수출기업 Biz 플랫폼 구축 사례를 통해 지역 수출산업의 메타버스 기반 디지털 전환 과정을 분석한다. 코로나19 이후 대구지역 수출액이 16.4% 감소하는 위기 상황에서, 디지털헬스케어, 고효율에너지시스템, 수송기기·기계소재부품 등 지역 주력산업을 대상으로 한 메타버스 플랫폼 도입 효과를 검토한다. 플랫폼 전략 이론과 기술수용모델을 활용하여 산업별 맞춤형 3D 콘텐츠, AI 활용 바이어 추천 시스템, NFT 계약 시스템 등의 차별화 요소를 분석하고, 지역 중심 메타버스 플랫폼의 교육적·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Educational Effectiveness and Audience Response Analysis of AI-Restored Historical Content on Short-form Platforms
키워드(원어)
AI 복원기술, 숏폼 콘텐츠, 교육 효과성, 역사교육, 수용자 반응
키워드(영어)
저자
이준영
초록(원어)
본 연구는 숏폼 플랫폼에서 AI 복원 기술을 활용한 역사 콘텐츠가 수용자의 교육적 반응과 학습 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독립운동가 15명의 사진을 Kling AI와 Hailuo AI로 복원한 2분 길이의 퀴즈형 영상을 틱톡에 게시하여 3개월간 243,400회 조회수를 기록했으며, 이에 대한 댓글 266개를 내용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감사/경의 표현(36.8%), 애국심 표현(24.1%), 감정적 반응(14.3%) 순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젊은 세대의 반성적 학습 반응이 두드러졌다. 이는 AI 기반 역사 콘텐츠가 전통적 교육방식의 한계를 보완하며 자발적 학습동기를 유발하는 효과적 도구임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를 위한 새로운 역사교육 콘텐츠 개발 방향을 제시한다.
The Role of Local Museums in the Era of Regional Disappearance
키워드(원어)
지방소멸, 박물관, 문화예술, 인구감소, 인구이동
키워드(영어)
저자
장미라, 김연희
초록(원어)
본 연구는 지방소멸 위기 상황에서 지역 박물관의 전략적 역할을 고찰한다. 저출산, 고령화, 수도권 집중에 따른 문화 인프라 약화 속에서, 지역 박물관은 지역 정체성 보존과 공동체 회복의 핵심 공간으로 기능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관람객 감소, 예산 부족, 인력난 등으로 운영상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외 사례를 분석하여 지역 박물관의 공공문화 플랫폼으로서의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박물관은 교육, 문화예술, 관광과 연계한 통합적 접근을 통해 지역 경제와 사회에 기여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정책적 지원과 협력 체계 구축이 요구된다.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Generative AI for Emergent Property Game Item Design in the Sandbox Genre
키워드(원어)
생성형 인공지능, 게임 리소스, 창발적 디자인, 게임 아이템, 샌드박스 게임
키워드(영어)
저자
강호성, 김정윤
초록(원어)
본 연구는 샌드박스 장르 게임에서 반복성 문제를 해결하고 창발성을 강화하기 위해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아이템 디자인 자동화 파이프라인을 제안한다. 현실에서 상식적으로 결합되지 않는 재료들을 조합하여 아이템을 설계하고, 이를 텍스트 설명, 이미지 생성, 3D 모델링까지 연계하는 구조를 설계하였다. 또한 RAG 기반 유사 조합 검색 시스템을 통해 리소스의 재활용과 다양성 확보 방안을 모색하였다.
Research on Creative Problem Solving Workshops Utilizing Generative AI
키워드(원어)
생성형 AI, 창의적 문제해결, 디자인씽킹, 아이디오 U
키워드(영어)
저자
유해영
초록(원어)
본 논문은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창의적 문제 해결 워크샵에 통합하는 방안을 탐구하며, 전통적인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를 재구성하는 새로운 모델을 탐구한다. 생성형 AI가 단순한 자동화 도구에서 공동 창작의 파트너로 진화함에 따라 학술적 프레임워크와 실제 워크샵 커리큘럼을 종합하여 데이터 기반 공감대 형성, 확장된 아이디어 발상, 그리고 신속하고 지능적인 프로토타이핑을 위해 AI를 활용하는 위크샵을 제안한다.
Strategies for revitalizing exhibitions using digital media technology
키워드(원어)
뮤지엄, 전시, 디지털 미디어, 전시 기법, 사용자 경험
키워드(영어)
저자
성주현, 김연희
초록(원어)
본 연구는 디지털 미디어 기술이 뮤지엄 전시에 미치는 영향과 전시 활성화 전략을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최근 박물관은 실감형(AR·VR), 인터랙티브 미디어, 메타버스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하여 관람자 중심의 경험 확장과 비대면 서비스 제공을 시도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디지털 미디어 전시의 개념과 특성을 정리하고, 국내외 주요 박물관 사례를 비교 분석하여 전시 콘텐츠 기획 및 사용자 경험(UX) 설계 방향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기술 중심의 단순 도입보다는 관람자의 능동적 참여를 유도하고 교육·문화 경험으로 확장할 수 있는 스토리텔링·UX 설계·하이브리드 전략이 필요함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박물관 디지털 전환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며, 향후 관람자 반응에 기반한 실증 연구로의 확장을 제언한다.